부동산 정책·제도

GTX A노선 27일 착공...반대 목소리도 커진다

수도권 교통난 개선 기대 크지만

대곡역 인근주민 노선 변경 요구

환경단체도 "재검토" 잇단 반발

경기도 파주시 운정에서 서울 삼성역까지 잇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A 노선이 착공에 들어간다. 수도권 주민의 교통환경이 크게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가 크지만 일부 지역 주민들이 노선 변경을 요구하고 있는 데다 환경단체의 반발도 잇따르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GTX-A 노선(파주 운정~삼성)에 대한 실시계획을 26일 승인하고 27일 고양시 킨텍스에서 착공식 행사를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 앞서 국토부는 GTX-A노선의 경우 연내 착공한다고 밝힌 바 있다.


GTX는 지하 40m 이하에 조성되는 도심 고속전철로 일반 지하철보다 3배 이상 빠른 평균 시속 100㎞(최고시속 180㎞)로 달린다. A 노선이 구축되면 파주 운정~서울역 20분, 킨텍스~서울역 16분, 동탄~삼성 22분 등 이동시간이 기존 대비 약 70~80% 이상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A 노선의 공사기간은 5년으로 2023년 완공 예정이다. 80㎞의 노선에 들어가는 예산은 총 2조 9,017억 원 규모다. 아울러 정부는 최근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GTX-C노선(양주∼수원)도 조기 착공하는 등 광역급행철도 구축 사업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이런 가운데 GTX 구축에 대한 반발도 적지 않다. A 노선이 지나갈 고양시 대곡역 인근 일부 주민들은 아파트 단지 곳곳에 반대 문구를 붙이는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는 중이다. 열차가 지나가면 소음과 진동이 발생해 주거 환경이 나빠지고 부동산 가치 하락이 예상된다는 게 이유다. 또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등 50여 개 단체도 지난 24일 서울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환경 보호 등의 이유로 GTX A 노선 사업의 재검토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가지기도 했다.

한편 GTX 구축에 따른 부동산 시장 영향에 대해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GTX가 완공되면 일부 지역이 혜택을 입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지역별 편차는 상당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완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