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부산 시민단체 "강제징용노동자상, 소녀상 옆에 반드시 세우겠다"

위안부 합의무효·강제징용노동자상 건립 공동행동…큰 충돌 없이 마무리

지난 5월 일본영사관 앞 노동자상 설치했으나 '외교적 우려'로 강제 철거

26일 오후 부산 동구 초량동 정발장군동상 앞에서 열린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무효와 강제징용노동자상 건립을 위한 공동행동에서 집회를 마친 참가자들이 모형 노동자상을 일본영사관 앞 소녀상 옆으로 옮긴 후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26일 오후 부산 동구 초량동 정발장군동상 앞에서 열린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무효와 강제징용노동자상 건립을 위한 공동행동에서 집회를 마친 참가자들이 모형 노동자상을 일본영사관 앞 소녀상 옆으로 옮긴 후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부산 시민단체가 강제징용노동자상을 일본총영사관 앞에 반드시 세워 일본 정부의 사과를 받아내겠다고 선언했다.


26일 오후 부산 일본영사관 인근 동구 초량동 정발장군동상 앞에서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무효와 강제징용노동자상 건립을 위한 공동행동이 열렸다. 집회에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부산여성행동과 소녀상을 지키는 부산시민행동, 적폐청산사회대개혁부산운동본부 회원 100여명이 참여했다. 이들은 2015년 12월 28일에 이뤄진 한일위안부 합의 무효와 일본총영사관 앞에 강제징용노동자상 설치 보장을 촉구했다.

관련기사



이들은 선언문을 통해 “올해 화해치유재단 해산과 강제동원 소송에 대한 대법원 판결은 작은 시작일뿐이다”며 “위안부 합의가 폐기되고 강제징용노동자들이 법적인 배상을 받는 날까지 행동을 멈추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김재하 민주노총 부산본부장은 “내년 3·1절, 노동절, 광복절 중 올해 설치가 무산된 강제징용노동자상을 반드시 일본총영사관 앞에 건립해 일본 공식 사죄를 받아 내겠다”고 의지를 보였다. 참가자들은 집회를 마치고 강제징용노동자상 모형을 일본총영사관 앞 소녀상 옆으로 옮겨 ‘지금 당장 여기’라고 적힌 손팻말을 들고 기념촬영을 했다. 경찰은 이들이 줄지어 이동하는 것을 막아 5분가량 참가자들과 경찰 간의 대치가 벌어지기도 했으나 큰 충돌은 없이 마무리됐다. 경찰은 혹시 모를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6개 중대를 배치했다.

시민단체는 지난 5월 일본총영사관 앞에 강제징용노동자상을 설치하려 했으나 외교적 충돌 가능성을 우려한 정부와 부산시에 의해 무산됐다. 이 과정에서 파손된 강제징용노동자상은 현재 수리를 위해 경기도에 보관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박원희 인턴기자 whatamove@sedaily.com

박원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