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김해공항 국제선 이용객 1,000만명 시대…정부 예측보다 7년 앞서

인천공항 제외한 지역 공항 중 최초

김해공항 국제선 이용객이 인천공항을 제외한 지역 공항 중 처음으로 1,000만 명을 넘어선다.

부산시와 한국공항공사는 김해국제공항의 연간 국제선 이용객(환승내항기 승객 포함)이 개항 42년 만에 처음으로 1,000만 명을 넘어 역대 최대 국제선 여객실적 달성이 확실시된다고 27일 밝혔다. 이는 국내에서 인천공항을 제외한 7개 국제공항 중 처음이다. 부산시는 김해공항이 지역 공항 중 유일하게 국제선 여객의 10% 이상을 처리하는 제2의 관문공항으로서 위상을 갖추게 된 의미 있는 성과라고 보고 있다.


김해공항은 2005년까지 국제선 여객이 연간 200만 명 수준에 불과했으나 2008년 부산 거점의 에어부산이 설립된 뒤 여러 항공사의 국제선 개설이 이어지면서 국제선 여객이 큰 폭으로 늘어났다. 현재 김해공항은 국내 주요 4대 공항 중 가장 높은 국제선 성장률(최근 10년간 연평균 12.9%)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금한령과 일본 태풍, 지진 등으로 일부 국제선 운항편이 중단됐음에도 불구하고 올해도 국제선 증가율이 두 자릿수(12.7%)를 나타내며 고공행진을 하는 것은 앞으로도 국제공항으로서 성장잠재력이 충분함을 반증하는 결과라고 부산시는 분석했다.

관련기사



김해공항의 국제선 여객 1,000만 명 달성은 정부가 2016년 영남권 신공항 입지평가 최종보고서에서 밝힌 2025년 시점보다 7년이나 앞당긴 것으로 여객증가세도 정부의 전망(7.0%)을 넘어섰다. 이 때문에 일부 항공전문가들은 이미 수용 능력(연간 630만명)을 넘어서 이용객 불편이 가중되고 있는 김해공항 국제선 터미널의 추가확장사업을 서둘러야 한다고 밝혔다. 또 중장기적으로 현 증가세가 지속한다면 당초 정부가 발표한 김해신공항의 국제선 수요(2,800만 명)도 조기포화 될 수 있는 만큼 신공항의 확장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오거돈 부산시장은 “정부 예측보다 7년 앞서 국제선 이용객 1,000만 명을 달성한 것은 대단히 기쁜 일이지만 한편으로 국제선청사의 수용능력을 넘어서며 시민들이 공항 이용에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는 점은 시장으로서 대단히 무거운 마음”이라며 “향후 여객증가세에 대비한 적절한 공항시설 개선사업 추진과 미주, 유럽 등 중장거리 노선 개설을 정부에 요청해 나가겠으며 궁극적으로는 ‘동남권 관문공항’으로서 신공항 건설을 위해 모든 시정역량을 집중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부산시는 27일 오후 2시 김해공항 국제선청사 입국장에서 ‘김해공항 국제선 여객 1,000만 명 달성 기념행사’를 연다. 이번 행사는 국제선 1,000만 번째 기념승객에 대한 기념품 증정과 공항 관계기관들이 함께하는 떡케익 커팅 등의 부대 행사로 구성된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