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종로 국일고시원 희생자 49재…"다음 생애는 안전한 주거환경에서"

비극적 사고에도 빈민층 주거권 개선 요원

"비주택 거주자 위한 현실적 지원책 필요"

빈곤사회연대와 주거권네트워크 등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이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국일고시원 앞에서 열린 화재 희생자 49재 기자회견에 앞서 고인들의 넋을 기리며 묵념하고 있다./연합뉴스빈곤사회연대와 주거권네트워크 등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이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국일고시원 앞에서 열린 화재 희생자 49재 기자회견에 앞서 고인들의 넋을 기리며 묵념하고 있다./연합뉴스



“화재로 돌아가신 분들이 다음 세상에서는 쾌적하고 안전한 주거 환경에서 사시길 기원합니다.”

화재로 7명의 목숨을 앗아간 국일 고시원 피해자들을 추모하는 49재가 열렸다. 참석자들은 화재가 일어난 지 49일이 지났지만 여전히 비주택 주거계층을 위한 대책이 마련되지 않은 데 분통을 터트렸다.


빈곤사회연대와 주거권네트워크, 2018 홈리스추모제공동기획단 등은 27일 서울 종로구 국일고시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49재를 개최하게 된 배경을 밝혔다. 이날은 지난 11월 9일 국일고시원의 화재 참사가 발생한 지 49일이 되는 날이다.

참석자들은 화재 참사 이후에도 비주택 거주자에 대한 열악한 현실은 변함없다고 입을 모았다. 박동수 서울세입자협회 대표는 “현재 고시원, 옥탑방, 지하방 등 최저 주거기준 이하에서 살고 있는 시민이 전체 10% 넘는다”며 “화재 취약해 생명마저 위협받는 이들을 위해 최저 주거기준을 최저임금처럼 입법화하는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일년 전 제천스포츠센터 화재로 가족을 잃은 유가족대표 민모 씨도 “제천 화재가 일어난 지 일년이 지났지만 바뀐 게 없어 이런 사고가 자꾸 일어나는 것”이라며 “화재 사고가 어디서든 일어날 수 있는 상황에서 이제 안전은 자기가 지키지 않으면 안되는 나라가 됐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49재를 주최한 시민사회단체는 화재 참사 후 피해자들을 위한 지원책도 현실과 동떨어졌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종로구는 최장 20년 입주 가능한 주거 취약계층 주거지원사업을 안내하지 않은 채 6개월 기한의 이재민 공공임대주택에 대해서만 안내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일 고시원에 거주하다 화재로 대피한 이모 씨는 “화재 후 임대주택을 지원해줬지만 TV, 냉장고 등 세간 살림 장만에만 수백만원 든다”고 꼬집었다.

서울 종로구 국일고시원 화재 참사가 난 지 49일째인 27일 오후 화재현장 앞에 마련된 분향소에 시민들이 헌화한 국화가 놓여 있다./연합뉴스서울 종로구 국일고시원 화재 참사가 난 지 49일째인 27일 오후 화재현장 앞에 마련된 분향소에 시민들이 헌화한 국화가 놓여 있다./연합뉴스


오래된 고시원 등 다중생활시설은 여전히 상향된 안전시설 기준, 건축 기준이 적용되지 않아 화재 위험은 여전하다. 다중이용업소에 안전시설 설치를 소급적용하도록 하는 내용의 건축법 개정안이 발의됐지만 국회에서 통과는 불투명하다.

이원호 빈곤사회연대 집행위원장은 “여전히 이 분들의 죽음이 반복될 수밖에 없는 부실한 재발 방지 대책 때문에 희생자를 추모할 뿐 아니라 재발 방지 대책을 촉구하게 됐다”며 “49재를 시작으로 취약계층의 주거권을 강화할 수 있는 싸움을 시작하는 출발이 됐으면 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달 9일 서울 종로구 관수동의 국일고시원에서 불이 나 7명이 숨지고 11명이 다쳤다. 서울시는 생존자 31명에게 거주비 및 생계비를 두 차례 지원했다. 상당수의 생존자는 경제적 비용 등을 이유로 다시 고시원에서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