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탈북민 997명’ 개인정보 유출, 해킹 방법은? 한 직원 악성코드 이메일 열어 “지원업무 파일 유출”

하나센터에서 해킹 사고가 발생해 탈북민 997여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돼 논란이 커지고 있다.

하나센터는 탈북민의 남한사회 정착을 지원하는 업체이다.


또한, 해커의 신원이나 목적 등은 알려진 바가 없지만 최근 탈북민을 노린 해킹시도가 급증하는 추세여서 북한과의 연계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다.

오늘 28일 통일부는 “경북하나센터에서 사용하던 PC 1대가 악성코드에 감염된 사실을 지난 19일 확인하고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고 이야기했다.


또한, 해킹은 악성코드를 심은 이메일을 통해 이뤄졌으며 한 직원이 문제의 메일을 열어보면서 PC가 악성코드에 감염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어 PC에 저장된 탈북민 지원업무 파일이 유출됐다.

한편, 통일부는 어제(27일)부터 개인정보가 유출된 탈북민에게 개별적으로 통지를 하고 있으며 현지에‘피해접수처’를 운영해 적절한 피해 구제에 나설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또한, 통일부 당국자는 “이번 사고로 여러 탈북민들에게 심려를 끼쳐드려 죄송스럽게 생각하며, 법제도적 보완 등 탈북민 개인정보 보호 강화와 피해 방지를 위해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고 밝혔다.

홍준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