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울산시, 지자체 첫 '자율車 임시운행 허가'

작년부터 32억 들여 의욕 추진

철저 검증 끝 1·2호 자체 제작

지역기업 부품 개발 촉매 기대

울산시와 지역 부품기업이 중심이 돼 만든 자율주행차. 내년 1월부터 실제 도로 주행에 나선다. /사진제공=울산시울산시와 지역 부품기업이 중심이 돼 만든 자율주행차. 내년 1월부터 실제 도로 주행에 나선다. /사진제공=울산시



울산시는 국토교통부로부터 자율주행차 임시운행 허가를 취득했다고 30일 밝혔다. 현재까지 현대자동차 16대, 서울대 4대 등을 비롯해 24개 기관에서 모두 53대의 임시운행 허가가 났으며 지방자치단체 중에서는 울산시가 처음이다.


울산시는 지난 2017년 4월부터 사업비 32억원을 들여 울산테크노파크와 자동차 부품기업 등 9개 기관이 참여하는 자율주행차 제작 및 실증 사업을 추진해왔다. 그동안 주변 환경 인지를 담당하는 라이다·레이더·카메라 등 첨단 센서와 액추에이터를 통합하고 호환성 검증 과정을 거쳐 내연기관 기반 자율주행 1호차와 전기차 기반 자율주행 2호차를 각각 제작했다. 액추에이터는 제어 신호에 따라 속도와 방향을 조작하는 장치다. 또 실제 도로 주행에 필요한 V2X(Vehicle to Everything) 인프라 설치를 북구 이예로 가대 교차로~중산 교차로(7㎞) 구간에 9월 완료했다. V2X는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이 운행 중 신호등 등 도로 인프라와 각종 교통·보행자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이다.

관련기사



이번에 허가를 취득한 임시운행 차량은 전기차 기반 자율주행 2호차다. 내년 1월부터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에 들어간다. 울산시는 임시운행 허가가 지역 중견·중소기업이 자율주행차량 부품을 개발하는데 촉매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임시운행 허가를 취득한 차량을 이용해 실제 도로 주행에서 차선·차간거리 유지, 끼어들기 등 인지·판단 능력과 V2X 연동 자율주행 통합 시스템 실험을 진행해 주변 차량 인식능력 시스템 향상, 악천후에 의한 센서 오류 방지 등 기술 개발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