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경기도, '새경기 준공영제' 등 내년도 교통정책 시동

교통분야 예산 6,769억 편성…교통정책 공공성 강화

경기도 내년 교통정책이 대폭 변경될 전망이다.

도는 31일 이를 위해 교통 분야 예산 6,769억원을 투입, 새로운 맞춤형 교통수단 확충에 나선다.


도는 우선 새경기 준공영제의 성공적 도입을 위한 시범사업 등 민선7기 도민의 교통이동권 보장을 위한 ‘교통공공성 강화 사업’에 4억7,000만원을 편성하고 대중교통수단의 통합관리·운영을 전담할 ‘교통공사 설립 타당성 검토’ 용역비로 2억 원을 편성했다.

도는 이와 관련해 오는 2020년 1월 교통공사 설립에 앞서 사업의 조기 추진을 위해 도시공사 내 교통본부를 설치, 시범 사업추진 상 문제점 등을 보완해 교통공사에 모범 사업 모델을 제시할 예정이다.

도는 새로운 맞춤형 교통수단 확충으로 도민 교통복지를 향상하기로 했다.

도는 노약자·임산부·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을 위해 저상버스 도입보조 및 운영비 지원에 58억원, 특별교통수단 도입 및 운영 지원에 160억원을 편성했다. 특히 광역버스 입석문제 완화를 위한 대용량버스(2층버스) 도입 지원에 64억원을 투자한다.

또 벽지지역 공영버스 확대 추진 1억1,000만원, 교통소외지역 맞춤형버스 사업 20억원, 경기도 수요응답형 택시 사업에 9억원을 편성하고, 신규사업으로 도시 및 농촌형 교통모델(버스분야) 93억 원을 포함시켜 대중교통 취약시간대 도민 교통편의 증진을 위한 맞춤형 교통정책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심야시간대 이동하는 도민들에게 안전하고 경제적인 대중교통 편의 제공을 위해 도내 심야버스 운행손실금의 일부를 지원하는 ‘심야버스 운행결손금 지원 사업’에도 14억 원을 투입한다.

관련기사



도는 근로시간 단축 등 정부시책에 따른 선제적 대응으로 대중교통 이용불편 해소하기로 했다.

내년 7월 근로시간이 주 52시간으로 단축됨에 따라 버스업체의 운전인력 부족문제 등 업계 부담이 불가피해졌다.

이에 도는 ‘버스운수종사자 양성 사업’에 올해 대비 25억원이 증가한 40억원을 편성, 버스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운전인력 부족문제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는 도민의 교통안전과 운수종사자들의 근무여건 개선을 위한 각종 사업에도 예산을 편성했다.

도는 대형 버스·화물 차량의 사고로 인한 인명피해 예방을 위해 버스 첨단안전장치 및 비상자동제동장치 장착 지원 예산 16억 원이 편성됐다. 또 택시 운수종사자 근로환경 개선과 이를 통한 사고예방 및 도민 친절서비스 제고를 위한 ‘택시쉼터 건립 지원 사업’에 5억6,000만원을, 2층버스 안전운행 제고를 위해 전방높이 경보장치 시범 설치를 지원하는 ‘2층버스 안전장치 설치지원비’로 1억 원을 들일 예정이다.

이밖에 공영주차장 조성 및 주차장 무료개방 지원 사업에 126억원을 편성해 구도심 등 주차난이 심각한 지역의 주민불편 해소할 방침이다.

김준태 경기도 교통국장은 “이번 교통분야 예산은 공공성 강화를 위한 새경기 준공영제 추진을 비롯해 도민 교통복지 향상, 교통편의 증진 및 안전하고 편리한 교통환경 조성을 통한 도민의 삶의 질 향상에 중점을 두고 편성했다”고 말했다.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