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태영호 "김정은, 美와 타협점 없으면 북미회담 안나올 것"

김정은 신년사 중 '새로운 길 모색' 대목 두고

"美 대통령과 마주 앉는다면서도 공갈 대목 끼워넣어"

판문점 남북회담 추가 개최 전망은 긍정적

태영호(왼쪽 두번째) 전 주영국 북한대사관 공사가 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김정은 신년사로 본 2019년 한반도 정세 분석과 전망’ 토론회에 참석해 오세훈 자유한국당 국가미래비전특위 위원장의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태영호(왼쪽 두번째) 전 주영국 북한대사관 공사가 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김정은 신년사로 본 2019년 한반도 정세 분석과 전망’ 토론회에 참석해 오세훈 자유한국당 국가미래비전특위 위원장의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태영호 전 주영국 북한대사관 공사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신년사 메시지를 두고 “북미 간 타협점을 찾을 수 없다면 2차 북미정상회담에 나서지 않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라 평가했다. 태 전 공사는 2일 국회에서 오세훈 자유한국당 국가미래비전특별위원회 위원장의 주체로 열린 ‘김정은 신년사로 본 2019년 한반도 정세 분석과 전망’ 토론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 위원장의 신년사에 포함된 ‘새로운 길 모색’ 대목에 대해서도 “김정은이 미국 대통령과 마주 앉을 준비가 되어 있다고 하면서도 바로 뒤에 ‘다른 길을 모색할 수 있다’며 공갈 대목을 끼워 넣은 점을 주목한다. 이는 김정은이 2차 미북 정상회담에 대한 강력한 희망을 보여주는 것”이라 해석했다. 그러면서도 “동시에 만약 회담 전 까지 미국과 북한 사이 타협점이 보이지 않는다면 차라리 2차 회담에는 나가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라 덧붙였다.

관련기사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한반도 전체로 적대 관계 해소 확장 ▲다자협상 추진 ▲개성공단·금강산 관광 재개 중 하나라도 한국정부와 합의한다면 꼭 서울은 아닐지라도 판문점에서 남북정상회담 추가 개최 가능성은 열려있다고 진단했다. 태 전 공사는 “김정은이 제일 관심을 갖는 것은 개성공업지구(개성공단)와 금강산 관광 재개와 같이 현실적인 이익이 되는 부분”이라며 “만약 이것이 재개되는 돌파구가 열린다면 서울까지는 아니어도 판문점에서 4·5차 남북정상회담을 하자고 할 것”이라 전망했다.

김 위원장이 올해 대북제재를 풀기 위해 핵 폐기 결단을 내릴 수도 있다는 일각의 관측에 대해서는 “북한 외교관으로서 저는 북한이 그런 합리적인 사고나 결정을 내릴 가능성은 없다고 판단한다”고 단언했다. 이어 “결국 올해 신년사의 문맥을 관통해보면, 2018년 초나 지금이나 핵무기를 끝까지 고수하려는 김정은의 입장에는 한치 변화도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며 “김정은이 핵무기를 포기할 결단을 내렸다고 지금까지 이야기해온 것은 일부 사람들의 희망사항에 지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양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