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李총리 “우리도 기술탈취 표적…유혹 막고 기술·설비 갖춰야”

새해 첫 국정현안점검 조정회의 주재

“정부 사회갈등 해결 획기적 성과내야”

3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이낙연 총리가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3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이낙연 총리가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이낙연 국무총리는 3일 “우리도 기술 탈취의 표적이 됐다”며 “기술유출을 막으려면 외부 유혹을 차단하고 내부 이완을 방지해야 하며 기술과 설비도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올해 첫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우리는 디스플레이 패널, 미디어 가전, 메모리반도체 등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지녔고 방위산업기술도 세계 9위권”이라며 이같이 언급했다.

이어 “2007년 산업기술보호법을 제정해 시행하고 관계기관 공조를 통해 기술유출을 방지해왔지만, 2013년 이후 전기·전자, 기계 등의 기술유출 또는 유출 시도가 적발된 일만 156건이고, 그중에는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자동차 엔진 변속기 등 25건의 국가 핵심기술도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이 총리는 “특히 중소기업은 보안설비와 전담인력이 부족해 전체 기술유출의 67%가 중소기업에서 생긴다”며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에 중소기업 지원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이 총리는 이와 함께 “현재 각 부처는 해결해야 할 갈등 과제를 많이 안고 있다”며 “올해는 정부가 갈등 해결에 획기적 성과를 거두길 바란다”고 밝혔다. 그는 “어느 사회나 갈등이 있지만 우리는 더 심하다”며 “2015년 사회갈등지수는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주요 30개국 가운데 26위로 매우 나쁜 편이었고, 한 민간연구소는 갈등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연간 수십조원으로 추산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 총리는 각 부처에 ▲ 부처별 소관 갈등 사안을 올해 안에 해결한다는 생각으로 챙길 것 ▲ 어려운 갈등일수록 민주적 절차에 따라 관리할 것 ▲ 갈등의 성격에 따라 대처 방식을 달리할 것 등을 지시했다. 그는 특히 “신고리 원전 5·6호기 공론화가 갈등을 잘 마무리한 사례로 평가받는 것은 결과도 결과지만 그 과정이 좋았기 때문”이라며 “민주적 절차에 따라 공정하고 현명하게 관리해달라”고 강조했다.

이 총리는 “문재인정부가 본격적으로 국정 성과를 내야 하는 시기가 됐다. 현안조정회의도 그에 걸맞게 운영할 생각”이라며 각 부처의 협력을 당부했다.
/윤서영 인턴기자 beatriz@sedaily.com

윤서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