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김정주 NXC 대표 넥슨 매각하나…인수주체로 텐센트 등 물망

NXC 지분 전량 매물로 내놓은 것으로 알려져

인수 후보군에 中 텐센트·넷이즈 등 물망에

업계 "진경준 검사장 관련 수사로 힘들어 해"

'규제 환경·게임에 부정적인 시각도 영향'분석




국내 1위 게임업체 넥슨이 매각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3일 게임 및 IB업계에 따르면 김정주(사진) NXC 대표가 자신과 특수관계인이 보유한 넥슨 지주사 NXC 지분 전량 매각을 추진 중이다. 해당 지분은 김정주 대표(67.49%)와 부인 유정현 엔엑스씨 감사(29.43%), 김 대표 개인회사인 와이즈키즈(1.72%)가 보유한 물량이다.

매각 주관사로는 도이치증권과 모건스탠리를 선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르면 내달 예비 입찰을 실시할 예정이다.


지난 2011년 일본 증시에 상장한 넥슨 시가총액은 현재 13조원 수준으로 이중 엔엑스씨가 보유한 넥슨코리아 지분(47.98%) 가치는 6조원 규모다. 또 고급 유모차 브랜드 스토케 등 NXC가 직접 보유한 회사들의 가치까지 합하면 매각가는 10조원을 넘을 전망이다.

관련기사



워낙 덩치가 큰 매물이라 업계에서는 과연 누가 넥슨의 새 주인이 될지 관심이 쏠린다. 국내 관련 업계에서는 넥슨을 인수할만한 규모의 회사가 마땅치 않은 만큼 텐센트와 넷이즈 등 게임 관련 산업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는 중국 관련 기업이 유력 인수 주체로 거론된다. 단, 이럴 경우 본사를 판교에 두고 있는 넥슨이 가진 지적재산권(IP)과 인력 등을 포함해 게임산업의 주도권까지 중국으로 넘어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김정주 NXC 대표가 돌연 회사 지분 매각을 추진하는 배경에도 관심이 쏠린다. 게임업계에서는 무죄 판결이 확정되기는 했지만, 친구인 진경준 검사장에게 이른 바 ‘넥슨 공짜 주식’을 증여했다는 이유로 2년여간 검찰 수사를 받으며 쌓인 피로감을 원인으로 꼽는다. 게임업계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과 확률형 아이템 등 풀리지 않는 게임산업 규제 등으로 힘들어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김정주 대표는 지난해 5월 자녀에게 회사 경영권을 승계하지 않겠다고 선언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이미 매각을 염두에 두고 있었던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된다. 김 대표는 슬하에 어린 두 딸을 두고 있다.

넥슨 관계자는 “매각설은 처음 듣는 얘기”라며 “사실관계를 파악 중 ”이라고 말했다.

양사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