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태우 참고인 신분 檢출석…"특감반원으로서 상부 지시 수행했을뿐"

"공무상 비밀누설은 내가 아니라 靑이 저질러"

김태우 수사관이 3일 오후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송파구 서울동부지검으로 들어서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김태우 수사관이 3일 오후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송파구 서울동부지검으로 들어서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연합뉴스



현 정부 청와대의 민간인 사찰 의혹을 제기한 김태우 수사관(전 청와대 특감반원)이 3일 검찰에 출석하면서 본인의 결백을 강조하고 청와대에 대한 폭로를 이어갈 것이라고 예고했다.

김태우 수사관은 이날 오후 1시20분께 서울 송파구 문정동 서울동부지검에 참고인 조사를 위해 출석하면서 취재진에 “16년 공직생활 동안 위에서 지시하면 그저 열심히 일하는 것이 미덕이라고 생각했고, 특감반원으로서 위에서 지시하면 열심히 임무를 수행해왔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데 업무를 하던 중 공직자에 대해 폭압적으로 휴대폰 검사를 하고, 혐의 내용이 나오지 않으면 개인의 사생활까지 탈탈 털어 감찰하는 데서 문제의식을 느꼈고, (청와대) 자신들의 측근에 대한 비리 첩보에 대해서는 직무를 유기하는 행태를 보고 분노를 금치 못해 폭로하게 됐다”고 말했다.


김 수사관은 “청와대에서는 공무상 비밀누설이라고 하는데 제가 아니라 박형철 반부패비서관이 감찰 첩보를 고등학교 동문인 첩보 혐의자에게 전화해 누설한 게 공무상 비밀누설이다”라고 주장했다. 검찰청 안으로 들어가며 “오늘 이 자리에서 청와대 범죄행위가 낱낱 밝혀지길 기대한다”며 추가 폭로를 예고하기도 했다. “본인 비위행위가 드러나고 나서 폭로했다”는 기자 질문에 대해서는 “나중에 밝혀질 것이라 생각한다”고 답했다.

관련기사



현재 서울동부지검에는 사건을 담당한 형사6부 위주로 민간인 사찰과 환경부 블랙리스트 관련해 2개 팀이 꾸려졌다. 검찰 관계자는 이에 대해 “특별수사팀 개념은 아니고, 업무분장 차원에서 팀을 2개로 나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더해 대검찰청에서 검사 1명이 추가로 파견된 상태다.

검찰은 현재까지의 참고인 조사 상황, 압수물 분석 현황, 피고발인인 조국 민정수석과 이인걸 전 특감반장 등 청와대 관계자 소환 시점 등에 대해서는 “말씀 드리기 힘들다”고 밝혔다. 검찰 관계자는 “오늘 김태우 수사관의 진술과 관련된 부분은 모두 확인할 계획”이라며 “비공개 소환조사 일정을 참고인이 스스로 밝힌 만큼, 귀가 시점도 본인 의사에 맡길 것”이라고 말했다.


오지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