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윤리에 대해 일반 국민과 공직자간 인식 차이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들은 공무원의 윤리의식, 퇴직 후 특혜, 신뢰도 등에 매우 부정적으로 봤지만 현직 공직자들은 대부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6일 한국행정연구원 세종국가리더십센터의 임성근 박사 연구팀이 내놓은 ‘ ‘공직윤리 국민 체감도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에 따르면 공직자의 윤리의식이 높아졌는지에 대한 질문에 일반인들은 38.4%만이 긍정적으로 답변했다. 그러나 같은 질문에 현직 공직자는 80.3%, 퇴직 공직자 77.7%, 전문가 76.4%가 긍정적 견해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일반인 700명, 현직 공직자 1만8,747명, 퇴직 공직자 112명, 전문가 89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또 대다수 일반인은 공직자가 업무 중 사적 이해관계의 충돌을 회피하려고 노력하지 않는다고 봤다. 이해충돌 회피 노력 평가에 대한 긍정적 답변은 일반 국민 16%, 전문가 46.1%에 그쳤지만 현직자와 퇴직자는 각각 60.3%, 73.2%로 나타났다. ‘공정한 직무수행’ 문항에서도 긍정적 대답은 일반 국민 18%에 불과했지만 전문가는 53.9%, 현직자 69.8%, 퇴직자 88.4%로 대조를 보였다. 연구팀은 “일반 국민은 공직윤리제도의 직접 대상자가 아니므로 구체적 내용을 인지하기 어렵지만 제도의 최종 성과는 국민에게 이해돼야 한다”며 “(공직사회는) 각종 지표에서 국민들의 신뢰도가 낮게 나타난 점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