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삼성전자 4분기 어닝쇼크…'영업익 연60조' 돌파 실패

반도체 호황에 매출·영업익·순익 ‘트리플 크라운’ 유력

4분기는 매출·영업익 급감…‘반도체 편중’ 우려 현실화

삼성전자가 지난해 전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슈퍼호황’에 힘입어 또다시 ‘실적 신기원’을 이뤘다. /연합뉴스삼성전자가 지난해 전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슈퍼호황’에 힘입어 또다시 ‘실적 신기원’을 이뤘다. /연합뉴스



삼성전자가 지난해 전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슈퍼호황’ 흐름을 타고 또다시 ‘실적 신기원’을 달성했다. 매출액은 사상 최초로 240조원을 넘어섰고, 영업이익은 60조원에 육박했다. 당기순이익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으나 44조∼45조원으로 예상되면서 역시 역대 최고치를 달성, 전년에 이어 또다시 ‘트리플 크라운’을 쓰게 될 것이 유력한 상태다.

그러나 3분기 17조원대까지 치솟으며 신기록을 세웠던 영업이익이 4분기에는 10조원대에 그치면서 ‘유종의 미’를 거두는 것은 실패했다. 게다가 올 1분기에는 실적이 더 내려앉을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도 제시됐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0∼12월(4분기) 연결 기준 잠정 실적으로 매출 59조원, 영업이익 10조8,000억원을 각각 달성했다고 8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사상최고치를 기록했던 전년 같은 기간 65조9,800억원보다 10.6% 줄었고, 전분기 65조4,600억원보다도 9.9% 축소됐다. 이는 올들어 분기 기준 가장 낮은 값이다.


영업이익은 1년 전 15조1,500억원에 비해 28.7% 줄었다. 전분기 17조5,700억원으로 역대 최고 기록을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무려 38.5%나 줄어든 수치다. 분기 영업이익이 14조원을 하회한 것은 지난 2017년 1분기 이후 7분기만에 처음이다. 특히 이는 증권사들의 전망치 평균이었던 13조3,800억원보다도 훨씬 낮아, ‘어닝 쇼크’ 수준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관련기사



이날 실적 발표에서 사업 부문별 성적표는 발표되지 않았지만 반도체 사업의 영업이익이 10조원을 밑돌면서 전분기 13조6,500억원 보다 감소폭이 확대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 IM(IT·모바일) 사업 부문은 갤럭시S9 시리즈의 판매가 기대보다 저조한 탓에 영업이익이 1조6,000억원대에 그치면서 전분기(2조2,200억원)보다 대폭 낮으리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반도체와 함께 DS(디바이스·솔루션) 사업 부문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DP) 사업의 경우 영업이익이 1조원 수준, 소비자가전(CE) 사업부문은 5,000억원 안팎을 각각 달성했을 것으로 업계에서는 예측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전체로는 매출액 243조5,100억원과 영업이익 58조8,900억원을 각각 달성하면서 창사 이래 최고 성적을 받았다. 그러나 4분기 ‘실적 부진’으로 인해 연간 영업이익 60조원을 처음 돌파할 것이라는 기대는 사그러들었다.

또 반도체 사업에서만 영업이익이 45조원 안팎을 기록하며 전체의 4분의 3가량을 차지한 것으로 추정돼 ‘반도체 편중’에 대한 우려도 늘었다. 실제로 지난해말부터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하락하면서 반도체 슈퍼호황이 꺾이자마자 삼성전자의 전체 실적도 급격히 줄어든 것으로 미뤄, 걱정했던 부작용이 현실화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 상반기까지는 반도체 사업이 작년보다 부진하면서 전체 실적도 계속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면서 “그러나 반도체 재고 조정이 마무리되는 하반기부터는 점차 되살아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다원 인턴기자 dwlee618@sedaily.com

이다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