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수원시, 비정규직 255명 정규직 전환

정년 지난 113명 촉탁 계약직 채용

수원시는 공공부문 파견·용역 비정규직 근로자 255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고 8일 밝혔다.

시는 올해 1월1일자로 60세 미만 비정규직 근로자 255명을 공무직으로 전환 임용하고, 60세 정년을 지난 113명은 촉탁 계약직으로 채용했다. 정규직으로 전환된 근로자들은 기존 임금보다 평균 25% 높은 임금을 받게 된다. 복지포인트, 건강검진 등 복지혜택도 받게 돼 근로여건이 개선됐다.


시는 파견·용역 비정규직 근로자를 대거 정규직으로 전환하고, ‘직무급제’라는 새로운 임금체계를 도입해 다른 지방자치단체의 본보기가 되고 있다. 이번 사례는 고용노동부로부터 호평을 받기도 했다.

관련기사



시는 지난해 10월 노사 및 전문가협의회를 열고 전체 파견·용역근로자 825명 중 414명에 대한 정규직 전환을 협의한 바 있다. 411명은 사회취약계층 일자리 보전, 업무특성(전문성)에 따라 전환대상에서 제외됐다.

안정적인 고용을 보장하면서 임금 상승에 따른 재정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임금체계는 직무급제로, 정년은 현 정규직과 같은 60세로 정했다. 전환대상자 중 시설물 청소·경비직종 등 고령자친화사업 근로자는 60세 이상인 경우 최대 65세까지, 65세 이상자는 전환 완료 후 연령에 따라 1∼2년 간 촉탁 계약 근로 형태로 고용을 보장한다.

염태영 수원시장은 “수원시 파견·용역 근로자들의 정규직 전환이 당사자들에게는 그동안의 설움과 아픔을 꿋꿋하게 견뎌낸 보람이 되고, 다른 비정규직 노동자들에는 희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수원=윤종열기자 yjyun@sedaily.com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