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금융규제 전문가 넬리 량 美 연준 이사후보 사퇴, 월가 입김 작용했나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이사로 지명됐다가 내정자 지위에서 물러난 넬리 량. /블룸버그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이사로 지명됐다가 내정자 지위에서 물러난 넬리 량. /블룸버그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 이사로 지명된 넬리 량(60·사진)이 내정자 지위에서 물러났다.

7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린지 월터스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성명을 내고 “넬리 량이 우리에게 연준 이사 지명에서 빠지겠다고 통지해 왔다”고 전했다. 량은 인준 절차가 길어질 가능성 때문에 직업적으로 너무 오래도록 오도 가도 못하는 어중간한 상태(limbo)가 지속 되는데 부담을 느낀 것으로 전해졌다. 량은 2년 전 연준을 떠나 싱크탱크인 브루킹스연구소에서 활동해 오고 있다.


형식은 이처럼 ‘자진 사퇴’였으나 미국 금융업계의 입김이 작용한 것이 아니냐는 뒷말도 무성하다. 량은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수습하는 과정에서 탁월할 역량을 발휘한 규제 전문가이다. 그는 2010년 연준에 금융안정부를 설립해 이끌면서 미국 금융업계와 이들의 지원을 받는 공화당 정치인들이 과도하다고 생각하는 갖가지 금융규제를 도입하는 데 힘을 보태기도 했다. 미국 은행들이 심각한 경기 하강기를 견뎌낼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스트레스 테스트’를 매해 치르도록 한 것도 량이 기획한 정책이었다.

관련기사



뉴욕타임스(NYT)는 량의 낙마와 관련해 “그가 금융규제를 과도하게 선호한다는 월스트리트(미국 금융가)의 우려에 동조하는 상원 의원들의 반대가 있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과 공화당원들이 금융위기 이후 도입된 규제를 완화하겠다고 공약했고, 금융업체들은 량이 그런 계획을 지지하지 않는다며 물밑으로 반대 운동을 벌였다”고 전했다.

연준 의장을 포함한 이사 7명은 대통령이 지명하고 상원이 인준하는 방식으로 선임되고 있다. 이들은 미국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활동한다. 연준 이사진은 현재 2명이 공석이다. 마빈 굿프렌드 카네기멜런대 경제학 교수도 연준 이사로 지명됐는데 아직 인준 청문회가 열리지 않았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