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에너지 소비구조 혁신 토론회]한국판 '윔' 서비스 내후년 시범 도입...자동차 주행거리 10%↓

수요 맞춘 '버스 다이어트'로

에너지 낭비도 막을수 있어

핀란드 헬싱키에서 대중교통·차량공유 서비스 연계 애플리케이션인 ‘윔(Whim)’을 켜고 출발지와 목적지를 입력하면 이동을 위한 가장 적합한 경로가 제시되는 것은 물론 최적의 교통수단이 이동 순서에 맞춰 즉각 제공된다. 출근길 집 앞에서 대기하고 있는 공유차량을 이용해 지하철역까지 간 뒤 도착지 인근 지하철역에서도 대기 중인 택시 등을 타고 이동하는 형태의 서비스다. 정액요금제 등을 활용해 비용 부담도 크지 않다. ‘윔’은 디지털 플랫폼을 이용해 출발지에서 도착지(Door to Door)까지 모든 교통수단을 한 번에 예약·결제하고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형 모빌리티(MaaS)’의 전형으로 꼽힌다.

우리나라에도 이르면 내후년 MaaS의 시범 서비스가 도입된다. 이 서비스가 도입되면 이용객들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것은 물론 국가 전체의 에너지 효율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에너지 소비구조 혁신’ 2차 토론회 두 번째 발표에서는 김현명 명지대 교통공학과 교수(스마트 모빌리티 센터장)가 이런 내용의 수송 부문 에너지 소비체계 혁신 방안을 제안했다. 김 교수는 “국가 전체 에너지 소비에서 수송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20% 수준으로 부문별 소비 비중 2위이자 가정 부문 소비의 두 배에 육박한다”며 “수송 부문의 에너지 소비를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이고 승용차 주행거리를 단축할 수 있는 MaaS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의 구상은 정부가 마련 중인 국가 에너지 효율 혁신전략에도 반영될 예정이다. 국가 에너지효율 혁신전략(KIEE) 추진단 관계자는 “이르면 내후년 MaaS의 시범 서비스가 도입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며 “서비스가 도입되면 우리나라 전체 승용차 총 주행거리의 10%가 감축될 것으로 예상돼 에너지 사용량을 크게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체 승용차의 총 주행거리가 10% 감축되면 오는 2030년까지 약 142만toe(석유환산톤ㆍ1toe는 원유 1톤을 태울 때 생기는 에너지)가량의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된다.




정부가 수송용 에너지 효율 향상 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수송 부문의 사용량 증가가 국내 전체 에너지 소비량을 끌어올리는 데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지난해 11월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 워킹그룹이 공개한 권고안에는 2040년 최종 에너지 소비 목표 수준을 1억7,660만toe로 설정해 2017년(1억7,600만toe) 수준으로 유지하도록 제시했다. 2040년까지 에너지 소비 수준을 현재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송 부문 에너지 소비도 최대한 줄여야 한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김 교수는 또 승용차 등 개인 교통의 에너지 소비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전기·수소차 보급을 늘리고 자율주행차 기술을 한층 끌어올려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해외 연구에서 25년간 휘발유 차량 두 대가 소비하는 연료비용은 1억6,726만원인 데 비해 태양전지 차량 두 대가 소비하는 에너지는 1,789만원으로 10분의1 수준으로 나타났다”면서 “자율주행차량이 차세대 지능형교통시스템(C-ITS) 기술과 결합되면 교통 흐름이 효율화돼 에너지 소비량이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김 교수는 버스의 크기를 지역 수요량에 맞춰 줄이는 ‘버스 다이어트’도 제안했다. 그는 “버스 승객이 많지 않은 지방 도시들이 대형 버스를 운행해 수송 에너지 비효율을 야기하고 있다”며 “정확한 탑승 수요를 기반으로 버스 차량의 크기를 줄이는 것만으로도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개인별 수송 에너지 소비량을 지표로 개발하고 이를 관리해야 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김 교수는 “해외의 경우는 한 명을 1㎞ 수송하는 데 어느 정도의 에너지가 필요한지를 지표화한 사례가 있는데 국내에서는 연구가 미흡하다”며 “이러한 시스템이 구축되고 스마트폰 통합 예약·지불·탑승·정산 체계와 연계되면 개인 기반의 에너지 소비량 관리도 가능해진다”고 내다봤다. 김 교수는 이밖에 실시간 클라우드 기반의 물류·수송 관리 시스템을 통한 물류 분야의 에너지 소비 효율화 방안과 혼잡 통행료 징수를 통한 에너지 소비 감축 방안 등도 제시했다.


강광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