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WHO 아·태 환경보건센터, 5월 서울에 문연다…미세먼지 등 연구

1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글로벌센터에서 열린 ‘WHO 아시아-태평양 환경보건센터’ 설립 양해각서 서명식에서 신영수 WHO 서태평양지역 사무처장(왼쪽부터), 조명래 환경부 장관, 박원순 서울시장이 양해각서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연합뉴스1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글로벌센터에서 열린 ‘WHO 아시아-태평양 환경보건센터’ 설립 양해각서 서명식에서 신영수 WHO 서태평양지역 사무처장(왼쪽부터), 조명래 환경부 장관, 박원순 서울시장이 양해각서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미세먼지 등을 연구할 세계보건기구(WHO) 환경보건센터가 서울에 설립된다.

환경부, 서울시, WHO 서태평양사무소는 15일 서울 종로구 서울글로벌센터에서 ‘WHO 아시아·태평양 환경보건센터’ 설립을 위한 양해각서 서명식을 개최했다.


WHO 아시아·태평양 환경보건센터는 센터장과 직원 선발 등 준비를 거쳐 올해 5월 서울글로벌센터에서 공식적으로 업무를 시작할 예정이다.

WHO 환경보건센터는 전 세계적으로 유럽(독일 본)에 1곳 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에는 이번에 최초로 설립된다.

이 센터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 환경오염과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과학적 정보와 증거 확보 ▲ 환경오염 저감과 건강 증진을 위한 지침과 정책 방향 제시 ▲ 지역의 환경보건 역량 강화 등을 할 계획이다.


센터는 ▲ 대기 질·에너지·보건 ▲ 기후변화·보건 ▲ 물·생활환경 등 3개 팀으로 구성된다.



이들 팀은 동북아 미세먼지 등 월경성 대기오염과 기후변화, 생활 화학물질, 환경오염 등을 전문적으로 연구할 예정이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미세먼지, 유해 화학물질, 기후변화와 같은 환경 유해인자로부터 사람이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과학적이고 세계적인 안목과 전문성을 가진 WHO 센터를 유치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유럽 환경보건센터가 미세먼지 기준을 제시해 국제사회에 기여한 것처럼 아시아·태평양 환경보건센터도 국경을 넘어 피해를 주는 미세먼지 등 환경 현안을 해결하는 데 전문성과 리더십을 발휘해 주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WHO 아시아·태평양 환경보건센터가 환경·보건분야 국내외 네트워크를 활용해 제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센터 유치를 기념해 이날 서울글로벌센터에서는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 주관으로 국제심포지엄이 열렸다.

김호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