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文대통령 "수소 경제로 에너지 안보 지킬 수 있다"

17일 울산 방문해 수소경제 청사진 제시

2030년까지 수소차와 연료전지 분야 세계 1위 목표

수소 위험성도 해명 "파리는 도심 한가운데 충천소"

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오전 울산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수소 경제와 미래 에너지, 울산에서 시작됩니다’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오전 울산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수소 경제와 미래 에너지, 울산에서 시작됩니다’ 행사에서 발언하고 있다./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17일 “우리나라는 에너지의 95%를 수입에 의존하는 에너지 빈국이지만 수소경제를 통해 에너지의 일정 부분을 자급할 수 있게 되면 경제성장을 더 안정적으로 이끌고 에너지 안보도 더욱 단단하게 지킬 수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울산시청에서 열린 정부의 수소경제 로드맵 발표행사에 참석해 “수소경제를 위한 우리 정부의 의지는 확고하다”며 “에너지원을 석탄과 석유에서 수소로 바꾸는 산업구조의 혁명적 변화”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의 울산 방문은 지난해 10월 말 전북 군산, 11월 경북 포항, 12월 창원에 이어 네 번째 전국 경제 투어이며 새해 들어서는 첫 지역 방문이다.

문 대통령은 “우리는 수소 활용 분야에서 이미 세계적인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다”며 “핵심부품의 99%를 국산화해 세계 최초로 수소차 양산에 성공했고 이 수소차는 한 번 충전으로 세계에서 제일 먼 거리인 600㎞를 달린다”고 소개했다. 이어 “세계적으로 수소경제가 시작되는 지금, 우리 수소차의 세계시장 점유율이 50%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수소경제 로드맵은 이런 강점을 바탕으로 세계 선도국가로 도약하고자 하는 청사진”이라면서 “2030년, 수소차와 연료전지에서 모두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지난해까지 수소차 1,824대를 생산해 그중 절반이 넘는 935대를 수출했는데 올해는 4,000대까지 생산을 늘리고 2022년 8만1000대, 2030년 180만대를 거쳐 그 수가 수백만 대로 빠르게 늘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수소 경제 효과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누적 1조원 수준인 수소경제 효과는 2022년 16조원, 2030년 25조원으로 규모가 커지고, 고용유발 인원은 현재 1만명 수준에서 2022년 10만명, 2030년 20만명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문 대통령은 “완성차 업체는 물론 연관 기업, 연구개발 인재들에게도 새로운 먹거리 분야가 될 것”이라며 “벌써 300여 개의 국내 부품업체가 개발과 생산에 참여하고, 수소 생산과 저장·운송 분야에도 다수의 중소·중견기업이 참여하고 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수소’라고 하면 수소폭탄을 연상해 위험하게 여기는 분이 많은데, 알고 보면 그렇지 않다”며 “지난해 프랑스를 방문했을 때 우리가 수출한 수소택시 61대가 운행 중이었고 파리 도심 한가운데 수소 충전소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수소차는 주행 중 대기의 미세먼지를 정화하는 효과까지 있다”면서 “2030년까지 정부의 목표대로 수소차가 보급되면 연간 3만톤, 현재 발생량의 10%에 해당하는 미세먼지를 줄이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수소 경제 활성을 위해 △규제 개선 및 지원 강화를 통해 2022년까지 수소충전소 310개 설치 △발전용 연료전지 보급 확대 △연료전지의 공공기관 도입을 통한 신산업·시장규모 확대 등을 약속했다.


윤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