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SKT 자율주행버스, 6월 상암동 누빈다

DMC일대 국내 첫 시범운행

버스·택시에 5G 단말기 보급

무단횡단 보행자 검지기 등

서울시와 첨단교통체계 구축

SK텔레콤 관계자가 자율주행차에 앉아 두 손을 올려보이고 있다./사진제공=SK텔레콤SK텔레콤 관계자가 자율주행차에 앉아 두 손을 올려보이고 있다./사진제공=SK텔레콤



오는 6월 서울 마포구 상암DMC 일대에서 자율주행버스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범 운행된다. 이를 위해 무단횡단 보행자 정보를 주변 차량에 경고하는 등 안전한 첨단교통체계가 조성된다.

SK텔레콤은 서울시와 차세대 지능형교통시스템(C-ITS)을 구축한다고 17일 밝혔다. 이 사업은 5G 차량용 통신 등 첨단 교통 인프라를 구축해 안전한 교통체계를 마련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SK텔레콤은 이를 위해 강남대로·통일로 등 서울 내외부 도로 121.4km 구간에 5G 센서 ·사물인터넷(IoT)을 구축하고 버스·택시에 5G 차량통신 단말기를 보급할 계획이다. 또 자료 수집과 안전한 정보 전달을 위한 5G 관제센터를 마련하고, 자율주행차 테스트베드도 조성할 예정이다. 사업기간은 2020년 말까지며 사업비는 약 254억원이다.


이번 사업에서 주목할 점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정기 운행되는 자율주행버스다. SK텔레콤과 서울시는 상반기중 상암DMC 일대를 자율주행 테스트베드로 구축해 자율주행버스가 일반 도로에서 운행하도록 할 예정이다. 이 차량은 DMC 지하철역과 상암동 일대 주요 건물들을 오가게 된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이르면 6월께 운행할 수 있다”며 “운행횟수와 구간 등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고 일반 차량과 함께 도로에서 달리게 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5G 통신을 접목해 안전한 교통체계도 구축한다. SK텔레콤은 버스전용차선·자동차전용도로 등 주요 도로에 5G 인프라를 설치할 예정이다. 차량용 5G 단말기 2,000여 대를 버스·택시 차량과 교통신호제어기에 공급해 교통 정보를 실시간 공유할 방침이다. SK텔레콤과 서울시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위험 상황을 파악한 뒤 다른 차량에 정보를 전달할 방침이다. 기존 LTE보다 10배 빠른 5G 응답 속도로 전 과정이 0.01초 이내에 이뤄져 운전자들이 신속히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시속 100km/h로 달리는 승용차 앞에 위험물이 나타나고 이를 감지할 때 까지 차량의 이동 거리가 28cm로 기존 LTE(2.8m)보다 10분의 1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SK텔레콤이 개발한 자율주행차가 지난해 경기도 화성시 케이시티에서 무단횡단 하는 어린이 모형을 발견하고 스스로 멈춰서는 시연을 하고 있다./사진제공=SK텔레콤SK텔레콤이 개발한 자율주행차가 지난해 경기도 화성시 케이시티에서 무단횡단 하는 어린이 모형을 발견하고 스스로 멈춰서는 시연을 하고 있다./사진제공=SK텔레콤


아울러 무단 횡단 사고가 줄어들고 응급차량 길 터주기도 원활해진다. 도로에 설치한 5G 검지기를 통해 보행자가 등장하면 주변 차량에 경고할 수 있다. 지난 2017년 무단횡단 교통사고가 9,590건에 해당할 정도로 빈번한 만큼 5G 교통체계로 사고 위험을 대폭 줄일 수 있을 전망이다. 5G 검지기는 특히 야간 · 악천후에도 무단횡단자를 인식할 수 있어 활용도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도로에 응급 차량이 접근하면 인근 차량에 알려줘 길 터주기를 유도할 수 있고, 버스 정류장이 혼잡할 경우에 진입 버스가 천천히 진입하도록 알려줄 수도 있다.

또 2차 사고 예방도 가능하다. 급커브 구간의 경우, 도로 특성상 전방 시야가 제한적인데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도로 뒤쪽 차량들에 정보를 알려줘 2차 사고 피해를 막을 수 있다. 그 밖에 장마철 폭우로 인한 도로 파손 등 돌발 상황에도 맞춤형으로 대응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30여 가지의 새로운 안전서비스가 도입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유영상 SK텔레콤 MNO사업부장은 “C-ITS 사업은 4차산업혁명의 핵심인 5G, 자율주행, AI, 클라우드 등 첨단 기술이 융합된 미래 사업”이라며 “서울시민들에게 5G를 통해 다양한 교통안전 정보를 제공하며, 교통사고 예방과 감소라는 사회적 가치를 함께 높일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강동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