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저축은행중앙회장 선출 과정에서 일부 중소형 저축은행들이 회장 후보들에게 중앙회 인사·예산에 개입할 수 있도록 요구했다는 의혹이 불거지면서 저축은행중앙회 운영의 구조적인 문제가 드러났다는 지적이 나온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 해 예산만 100억원에 달하는 저축은행중앙회는 79개 저축은행이 자산 규모별로 분담하고 있다. 저축은행 자산 규모는 1위인 SBI저축은행이 5조7,297억원으로 가장 많고 센트럴저축은행처럼 수백억 원에 달하는 곳도 있다. 그만큼 자산 규모가 천차만별이다.
하지만 회장을 선출하는 회장후보추천위원회에 참여하는 저축은행 회원사는 엠에스저축은행(자산 규모 4,746억원)과 민국저축은행(3,762억원), 센트럴저축은행(831억원) 등으로 미니 저축은행들이 대부분이다. 지난해 3·4분기 기준 저축은행 총자산은 66조2,674억원으로 저축은행 79개사로 나누면 평균 자산은 8,388억원이다. 저축은행 평균 자산에도 못 미치는 미니 저축은행들의 입김이 그만큼 세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한 대형 저축은행 관계자는 “자산 규모나 중앙회에 내는 예산 분담금과 상관없이 1사 1표 원칙이 적용되다 보니 50년 가까이 업을 이어온 지방 저축은행들이 상대적으로 회장 선출이나 중앙회 운영 등에 목소리가 클 수밖에 없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이번 회장 선출 과정에서 저축은행중앙회 노조가 “일부 회원사 대표가 회장 후보자에게 중앙회 임직원 연봉 삭감과 회장의 고유권한인 중앙회 인사 등에 관여할 수 있도록 각서를 요구했다”는 의혹을 제기하면서 이 같은 문제가 표면화됐다. 실제 차기 회장으로 유력했던 한이헌 전 청와대 경제비서관은 최종면접 인터뷰에서 이 같은 취지의 질문을 받은 뒤 “인터뷰 목적이 자질과 역량 검증에 있지 않았음이 분명하다”며 전격 사퇴해 논란이 됐다. 이는 중앙회 노조가 “중앙회에 대한 과도한 지배 개입이고 중앙회의 역할과 기능을 무력화시키는 행위”라고 강력 반발한 것처럼 일부 회원사들이 중앙회 운영에 개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점을 행동으로 표출했다는 지적이다.
중앙회가 과거부터 오너계 저축은행의 입김에 휘둘려 너무 의존적으로 운영돼왔다는 지적이 없지 않았다. 민국이나 금화저축은행 등은 1970년대 설립돼 업계에서는 터줏대감 대접을 받는다. 이들의 발언권을 무시할 수 없다. 차기 회장들도 이들 터줏대감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다. 저축은행의 한 관계자는 “중앙회 운영에 입김이 센 저축은행들은 업력이 오래된데다 2011년 저축은행 부실 사태 때도 무사히 살아남아 존재감이 더 커졌다”며 “역대 중앙회 회장도 이들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었다”고 말했다. 반면 자산 규모가 수조 원에 달하는 대형 저축은행들은 업력이 10년 이내로 짧은데다 태생이 대부업이고 오너가 아니라 전문경영인(CEO)이다 보니 입김이 세지 않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회추위에 SBI·OK·웰컴·애큐온 등 상위 대형 저축은행들은 아예 포함돼 있지도 않다. 회추위는 물론 중앙회 이사회 역시 중소형 저축은행 중심으로 짜여 있다. 이사회 구성은 회원이사 6명과 중앙회장 1명, 전무 1명, 전문사외이사 4명 등으로 구성돼 있는데 회원이사 6명은 유석현(스카이), 한소철(삼정), 박혁(조흥), 김건식(엠에스), 최철훈(센트럴), 홍승덕(아산)씨 등 모두 중소형 저축은행 출신이다. 대표성이 떨어지는 일부 소수의 저축은행이 중앙회를 쥐고 흔드는 이른바 ‘왝더독 현상’이 더 심화하면 저축은행 업계는 물론 중앙회를 표류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일각에서는 중앙회 운영이 일부 입김이 센 중소형 저축은행 중심으로 ‘카르텔화’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신재민 전 기획재정부 사무관의 각종 의혹 폭로로 금융당국이 낙하산 논란을 의식해 교통정리를 해주지 않자 저축은행 간 알력이 수면 위로 드러났다는 것이다. 일부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중앙회가 운영되다 보니 저축은행을 관리·감독해야 할 역할이 오히려 축소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또 전체 저축은행 공통의 이해관계에 따라 중앙회가 금융당국과 소통이나 조율을 해야 하는데 한계가 점점 뚜렷해지고 있다는 내부 자성도 나온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일부 저축은행이 밀실에서 당국과 교감하에 회장을 선출하다 보니 중앙회 회장의 위상도 많이 추락한 상황”이라며 “대부분의 저축은행이 중앙회의 정책 조율 기능 등을 기대하는 분위기도 사라져 중앙회가 갈라파고스 같은 섬나라로 전락해 있다는 느낌을 받는다”고까지 말했다.
한편 저축은행중앙회는 21일 회원사 79개사가 참여하는 총회를 열고 차기 저축은행중앙회장을 선출한다. 관료 출신인 박재식 전 한국금융증권 대표와 민간 출신인 남영우 전 한국투자저축은행 대표 등 2명 가운데 다득표자가 선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