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담배 줄이겠다는 김부장…동맥경화 위험은 마찬가지

김종성·정진규 교수팀

"40세 이상 男 흡연량 확 줄여도

심근경색증 등 똑같이 고위험"

12



하루 담배 반 갑~한 갑 이하를 피우는 40세 이상 연령층이라면 대동맥의 석회화(동맥경화)가 진행 중일 위험이 과거·현재 비흡연자보다 3.4~3.7배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하루 한두 갑 피우던 담배를 끊기 어렵다는 이유로 흡연량을 반 이하로 줄이더라도 협심증·심근경색증·뇌졸중 등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인자인 동맥경화를 늦추는 데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얘기다.


김종성·정진규 충남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팀이 건강증진센터에서 복부 컴퓨터단층촬영(CT) 등을 받은 40~81세 남성 중 협심증·심근경색증·뇌졸중 등 심뇌혈관질환 병력이 없는 218명(40∼81세)의 흡연 여부와 CT로 확인된 대동맥의 석회화 정도를 비교분석한 결과다.

온몸에 혈액을 전하는 동맥에 칼슘이 침착돼 딱딱하고 두껍고 탄력이 없어지는 석회화가 진행되면 혈액 흐름이 원할하지 못해 혈전이 잘 생긴다. 수축기 고혈압과 심장근육 비대도 유발한다. 동맥경화인데 대동맥,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 뇌동맥 등을 가리지 않고 진행돼 심뇌혈관질환 위험을 높인다.


대동맥은 심장에서 나온 혈액이 처음 지나는 큰 혈관으로 아치형 손잡이가 있는 지팡이와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다. 대동맥의 50% 안팎에서 경미한 석회화가 드문드문 진행되거나 중등도 석회화가 군데군데 진행(동맥경화 2~3단계)됐다면 ‘무증상 동맥경화’ 또는 ‘무증상 심혈관질환’ 단계로 볼 수 있다. 더 진행되면 증상이 나타난다.

관련기사



22일 연구팀에 따르면 대동맥의 석회화가 진행된 사람의 비율은 △과거·현재 비흡연자 22%, 과거흡연자 44%, 현재흡연자 53% △흡연기간 20년 미만 26%, 20년 이상 66% △일일 흡연량 반 갑(10개비) 미만 37%, 반 갑~한 갑 54%, 한 갑 초과 60% △평생 흡연량 10~20갑년 39%, 20갑년 초과 69.5%였다. 10갑년은 5년간 하루 두 갑, 10년간 하루 한 갑, 20년간 하루 반 갑을 피운 흡연량이다.

대동맥 석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나이, 주당 운동횟수, 허리둘레,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당뇨병 등의 변수를 보정해도 결과는 비슷했다. 현재흡연자, 흡연기간 20년 이상, 평생 흡연량 20갑년 초과, 일일 흡연량 한 갑 초과자의 동맥경화 위험도는 과거·현재 비흡연자의 5.05~6.1배나 됐다. 과거흡연자는 2.1배 △10년 미만, 10년 이상∼20년 미만 흡연자는 1.8배, 1.95배 △하루 반 갑 미만, 반 갑~한 갑 흡연자는 3.4배, 3.7배 △평생 흡연량 10갑년 미만, 10~20갑년 1.5배, 4.5배였다. 하지만 동맥경화가 진행 중이어서 ‘심혈관질환 예비 고위험군’인 건 마찬가지였다.

정진규 교수는 “담배를 끊기 어렵다는 이유로 하루 흡연량을 줄여도 대동맥 석회화(동맥경화)에는 아무런 도움이 안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결과”라며 “흡연의 위해성을 걱정한다면 담배를 끊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결과는 대한가정의학회가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한국가정의학저널(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KJFM)’ 1월호에 발표됐다.

앞선 연구에 따르면 중년 흡연자는 과거·현재 비흡연자보다 심장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심장동맥) 석회화가 남성은 10년, 여성은 8년 빠르다.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