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도둑은 토요일 새벽3시에 가장 많아! 특히 1월多.. 왜? 고개 끄덕끄덕 할 만한 이유

토요일 새벽에 빈집털이 집중적토요일 새벽에 빈집털이 집중적



지난해 빈집털이 사건이 토요일 새벽에 집중적으로 일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침입 유형으로는 창문으로 침입한 비율이 39%로 가장 높았다.

21일 민간 보안 기업 ‘에스원’ 범죄예방연구소는 지난해 에스원 시스템경비 서비스를 이용하는 90만명의 통계자료를 분석해 공개했다.


월별 침입사고 발생비중의 경우 1∼2월(20%)과 7~8월(19%)에 범행이 가장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1∼2월은 신년과 설을 맞아 현금 보유가 많을 때이고 연휴를 활용한 해외여행 등으로 집을 비우는 가구들이 늘어나는 기간이다. 7∼8월도 휴가철로 장기간 집을 비우는 경우가 많아 주의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일별로는 토요일(17%)에 범죄가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그 뒤로는 월요일(16%)과 일요일(15%), 화요일(15%)이 뒤따랐다.

에스원 측은 월요일과 화요일에 빈집털이가 많았던 이유를 지난해 ‘부처님오신날’, ‘한글날’ 등 공휴일이 많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침입범죄의 78%는 새벽 시간대(0시∼오전 6시)에 발생했다. 특히 어둡고 인적이 드문 오전 3시대의 발생 비율이 집중된 것(22%)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침입 유형별로는 창문(39%)을 통해 침입한 비율이 가장 높았고 이어 출입문(29%), 보조 출입문(19%) 순으로 나타났다.

에스원 측은 “창문을 통한 범행 중 66%가 잠겨 있지 않은 창문으로 침입한 것으로 조사됐다”며 “특히 단독주택은 아파트에 비해 창문이 문이 많고 2층 이상일 경우 창문 점검에 소홀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신혼여행으로 장기간 집을 비울 친구의 SNS를 염탐한 30대 남성은 친구의 집에 침입, DSLR 카메라 2대, 망원렌즈 3대, 양주 5병, 시가 1200만 원치 등 고가의 물건을 훔치다가 붙잡혔다.

‘도둑’, ‘토요일 새벽’만 조심할 것이 아니라 자신의 정보를 쉽게 노출하지 않는 것도 중요한 부분이다.

[사진=MBC 방송화면]

최재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