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올해 부산항 개발에 5,958억원 투입한다

항만 경쟁력 제고, 지역경제 활성화, 일자리 창출 등 기여

부산항건설사무소와 부산항만공사는 올해 부산항 개발에 5,958억 원을 투입한다고 23일 밝혔다. 이중 국비는 2,398억 원이며 나머지는 부산항만공사와 민간에서 각각 2,245억 원과 1,315억 원을 투입한다.

이들 기관은 먼저 대형선박의 통항 안정성 확보를 위한 토도 제거(토석 245만㎥) 사업을 지속 추진하고 2022년 신항 서 ’컨‘부두 개장에 대비해 항로구역의 적정수심을 확보하는 개발(2단계) 준설 사업을 착공할 계획이다. 또 관공선 및 예선, 급유·급수선 등 항만운영을 지원하는 소형선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고 소형선부두 축조공사를 본격 추진한다. 신항 개발로 발생하는 준설토의 수용을 위한 신규 준설토 투기장(2구역) 호안 축조사업도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


신항의 효율적인 물류수송체계도 구축한다. 이를 위해 서 ‘컨’ 진입도로(2.2km) 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하고 남 ‘컨’ 진입도로(0.8km)를 올해 상반기 안으로 착공할 계획이다. 항만기능과 연계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남 ‘컨’ 배후단지(144만㎡) 및 ‘컨’ 부두(남 ‘컨’ 2-4, 3선석·서 ‘컨’ 2-5, 3선석)는 2022년 운영을 목표로 차질없이 추진 중이다. 서 ‘컨’(2-6, 2선석)은 올해 착공 예정이다.

관련기사



북항 재개발사업도 2022년 준공을 목표로 단계별로 추진 중이다. 1-1단계 구간은 지난 2016년 부지조성을 완료한 뒤부터 기반시설공사를 진행 중이며 재개발 사업지로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 지하차도 건설(1.87km) 사업을 착공하기로 했다. 아울러 연안정비사업으로 영도 동삼지구 힐링 연안공간 조성(해양박물관 인근 6개소)과 다대포 해안 복원 사업(호안 정비 0.93km 등)을 시행하고 국가 어항인 가덕도 천성항(방파제 360m, 물양장 320m 등)을 지속 개발할 예정이다. 대변항을 이용하는 소형선박과 낚시 어선 접안시설 확충을 위한 물양장 설계도 착수할 계획이다.

이밖에 태풍 내습 시 상습적인 침수피해가 발생하는 부산항 신항 용원지역 저지대 일원에 재해방지시설(방재언덕) 설치 사업과 자연재해로부터 항만시설을 보호하기 위한 감천항·다대포항 방파제, 신선대 투기장 태풍피해 복구도 지속 추진한다. 이철조 부산항건설사무소장은 “항만 인프라의 지속적인 확충을 통해 부산항의 국제경쟁력을 높이고 사업비 조기집행 및 적극적인 기반사업 건설 추진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 등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조원진기자 bscity@sedaily.com

조원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