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車 산업 발전 논할 노사정 포럼 출범…민노총 "광주형 일자리 중단부터"

24일 출범식 개최

민노총 금속노조

"광주형 일자리

타당성 검증해야"

국내 업계의 미래 자동차 선점을 위해 노사정이 머리를 맞대고 포럼을 열었다. 하지만 민주노총이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혁신 계획인 ‘광주형 일자리’ 사업에 또다시 반대의견을 내면서 포럼이 대립 구도로 치달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민주노총 금속노조는 노사정 포럼이 열린 24일 성명을 통해 “자동차산업 노사정포럼에서 광주형 일자리 타당성 검증부터 시작하라”고 요구했다. 금속노조는 “우리는 △글로벌 시장의 공급포화△국내 자동차공장 구조조정과 70만대 유휴시설 존재△자동차산업 전체 노동자 임금의 하향 평준화 우려△단체협약 위반 및 노동3권의 실종 등의 이유로 광주형일자리를 반대해 왔다”면서 “자동차산업 노사정포럼을 발족하려는 즈음에 또다시 광주형 일자리를 거론하는 것은 그간 어렵게 준비한 상호 신뢰관계를 한꺼번에 무너뜨리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 추진되는 광주형 일자리 논의를 즉각 중단하고 자동차산업 전망과 고용문제에 대해 진정성있는 논의를 진행하자”고 금속노조는 강조했다.

관련기사



광주형 일자리는 현대자동차와 광주광역시가 자본금을 투자해 광주시 빛그린 산업단지에 7~10만대 규모 완성차 업체를 세우고 약 1만개(직접 고용) 일자리를 창출하는 사업이다. 새로 만들어진 일자리의 급여는 연 3,500만원으로 생산직 연봉이 평균 9,000만원을 넘는 현대기아차의 절반에도 못 미치지만 광주시는 주거 등 복지 지원을 통해 안정적 생활을 보장한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지난 해부터 이어진 협상은 올들어 답보 상태에 빠졌고 민주노총과 현대차 노조는 “자동차 산업의 저임금화를 초래한다”며 반발하고 있다.

한편 자동차산업 노사정 포럼은 24일 서울시 서초구 자동차산업협동조합 회의실에서 출범식을 열었다. 노동계에선 민주노총 금속노조, 한국노총 금속노련(노동계)이, 업계에선 자동차산업협회·자동차산업협동조합이 참여했다. 이밖에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이 정부 인사로 참여하고 산업연구원ㆍ노동연구원(국책연구기관)도 연구단체로 포럼에 들어갔다. 자동차 산업 발전을 논의할 노사정 포럼을 꾸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포럼은 1년간 매월 한 두차례 정기적인 토론회를 열 예정이다.


이종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