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지난해 '통신비'는 내리고 '휴대폰값'은 올랐다

휴대전화료 소비자물가지수 처음으로 기준선 아래로…휴대전화기는 3년째 상승세

2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작년 휴대전화 이용료 물가가 역대 최저 수준으로 하락한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휴대전화 단말기 물가지수는 계속 상승세를 기록해 가계통신비 절감 정책의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미지투데이2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작년 휴대전화 이용료 물가가 역대 최저 수준으로 하락한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휴대전화 단말기 물가지수는 계속 상승세를 기록해 가계통신비 절감 정책의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미지투데이



작년 휴대전화 이용료 물가가 역대 최저 수준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작년 휴대전화료 물가는 98.43으로 전년(100)보다 1.6% 감소했다. 휴대전화료가 기준인 100을 밑돈 것은 1995년 통계를 집계한 이후 최초다. 품목별 소비자물가지수가 100 미만이면 기준연도인 2015년보다 하락했다는 뜻이며, 100을 초과하면 상승했다는 의미다. 휴대전화료는 1995년 188.799에서 스마트폰 보급으로 큰 폭으로 하락하며 2012년 100을 기록한 뒤 2017년까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해 왔다.


작년 휴대전화료 물가가 100 아래로 하락한 것은 요금할인율을 높인 정책과 이통사들의 중저가 요금제 출시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휴대전화 요금할인율이 2017년 9월 중순 25%로 5%포인트 상향된 이후 혜택을 본 이동통신 가입자는 1년 2개월여 만에 2,000만명에 이르렀다. 이통3사는 작년 보편요금제(월 2만원대에 1GB 이상, 음성통화 200분)와 비슷한 요금제를 내놓으며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이었던 알뜰폰 가입자들을 대거 끌어들였다.

관련기사



그러나 휴대전화기 물가지수는 102.93으로 전년(101.89)보다 2.9%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연도인 2015년 이후 3년 연속 상승세이고 2014년(105.51) 이후 4년 만에 최고치다. 이는 잇따라 등장한 새로운 스마트폰 기종 때문에 단말기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풀이된다.

휴대전화료가 하락했음에도 단말기 가격이 계속 상승하면서 가계통신비 경감 정책의 효과가 제한적일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이통사에 대한 요금 인하 압력이 어느 정도 효력을 보였다”며 “가계통신비 경감을 위해 단말기 자급제 비중 상향 등 휴대전화기 가격을 내리기 위한 노력이 뒤따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박원희 인턴기자 whatamove@sedaily.com

박원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