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전자발찌 성범죄자 이상징후 감지시스템, 내달 가동

박상기 법무부 장관이 지난 2018년 8월 서울 동대문구 서울보호관찰소에서 열린 전자감독제도 시행 10주년 기념행사에서 전자발찌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박상기 법무부 장관이 지난 2018년 8월 서울 동대문구 서울보호관찰소에서 열린 전자감독제도 시행 10주년 기념행사에서 전자발찌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전자발찌 착용 성범죄자들에게서 재범 관련 이상 징후를 포착해 보호관찰관에게 알리는 시스템이 가동된다.

29일 법무부는 빅데이터 분석 기법으로 성폭력 전자발찌 부착 대상자의 이상 징후를 포착하는 ‘범죄징후 예측 시스템’을 다음달 도입한다고 밝혔다.

이 시스템은 성범죄자가 시간대별 정상 생활지역을 벗어나면 담당 보호관찰관에게 알림이 간다. 또 재범 위험성을 높일 수 있는 이별이나 실직·질병 등 생활 여건의 급격한 변화도 분석해 제공한다.


보호관찰관은 이 같은 이상 징후를 전달받으면 직접 관찰을 나가거나 면담을 시행하게 된다. 전자발찌 부착 대상자는 지난 2018년 말 기준 2,423명이다.

관련기사



기존 전자감독 시스템으로는 전자발찌 착용 상태나 출입금지 지역 방문 정도만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전자발찌 부착 대상자의 재범 징후는 보호관찰관 개개인의 판단에 의존해야 했고 일탈 행동을 즉시 파악하는 것도 어려웠다. 비록 전자발찌 도입 후 성범죄 재범률은 8분의1가량으로 줄었으나 여전히 연평균 수십 건의 재범이 발생하고 있다.

법무부의 한 관계자는 “성범죄자가 대부분 유사한 패턴의 범죄를 반복한다는 데 착안해 개발한 것”이라며 “범죄 위험을 사전에 분석해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갖췄다”고 말했다.

법무부는 앞으로 민간 빅데이터 전문가 등과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시스템 운영 모니터링과 고도화 작업을 병행해나갈 예정이다.


조권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