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글로벌 기업 디폴트 우려 확산...신용등급 강등 2년반만에 최고

S&P 작년 4분기 분석

등급 하향 건수 166건 달해

3015A11 신용등급



글로벌 기업들의 신용등급 강등이 눈에 띄게 급증하고 있다. 저금리 기조에서 부채를 마구 늘린 기업들이 금리 인상과 글로벌 경기 위축으로 재무에 직격탄을 맞으면서 지난해 4·4분기 중 신용등급이 조정된 기업들 가운데 등급 강등 기업의 비중이 2년 반 만에 가장 높은 64%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29일 국제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4·4분기 중 기업신용등급이 상향된 건수는 92건으로 3년래 최저수준에 그친 반면 하향 조정은 166건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이 기간 신용등급이 조정된 전체 기업 가운데 하향 기업 비중은 64%로 최근 10분기래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등급별로는 투자위험이 높은 투기등급에 속하는 ‘BB+’에서 한 단계 더 강등된 경우가 123건으로 전체의 70%를 차지했다. 투자적격등급인 BBB-이상에서 투기등급으로 떨어진 경우도 7건이 확인됐다.

관련기사



강등 기업들 가운데는 회사채 발행으로 자금을 조달했지만 채무만 늘어난 채 정작 수익 향상으로 이어지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미 제너럴일렉트릭(GE)은 조달한 자금을 비핵심 부문인 기업 인수합병(M&A)이나 자사주 매입에 사용해 신용등급이 A에서 BBB+로 주저앉았으며 사무용 기기 업체 제록스도 같은 이유로 신용등급이 BB+로 낮아졌다.

신문은 글로벌 경기 위축 우려가 고조되는 가운데 급격한 등급 강등으로 자금조달에 차질을 빚은 기업들의 경우 디폴트(채무불이행)에 빠질 우려가 크다고 경고했다. 실제 국제신용포트폴리오매니저협회(IACPM)의 최근 조사에서 세계 20개국 운용담당자 중 73%는 “향후 1년간 채무불이행이 늘어날 것”이라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