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빚더미' 글로벌 기업 디폴트 우려 확산...신용등급 강등 2년반 만에 최고

글로벌 기업들의 신용등급 강등이 눈에 띄게 급증하고 있다. 저금리 기조에서 부채를 마구 늘린 기업들이 금리 인상과 글로벌 경기 위축으로 재무에 직격탄을 맞으면서 지난 4·4분기 중 신용등급이 조정된 기업들 가운데 등급 강등 기업 비중은 2년 반 만에 가장 높은 64%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29일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4·4분기 중 기업 신용등급이 상향된 건수는 92건으로 3년래 최저수준에 그친 반면 하향 조정은 166건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같은 기간 신용등급이 조정된 전체 기업 가운데 햐항 기업 비중은 64%에 달해 최근 10분기래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등급별로는 투자 위험이 높은 투기등급에 속하는 ‘BB+’에서 한 단계 더 강등된 경우가 123건으로 전체의 70%를 차지했으며, 투자적격등급인 BBB-이상에서 투기등급으로 떨어진 경우는 7건이 확인됐다.

관련기사



등급이 강등된 기업들 중에는 회사채 발행으로 자금을 조달했지만, 채무만 늘어난 채 정작 수익 향상으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미 제너럴일렉트릭(GE)은 조달한 자금을 비핵심 부문인 기업인수합병(M&A)이나 자사주 매입에 사용해 신용등급이 A에서 BBB+로 주저앉았으며, 사무용기기 업체 제록스도 같은 이유로 신용등급이 BB+로 낮아졌다. 아시아 기업들 중에서는 경기 악화와 자국 통화가치 절하 등에 따른 부담으로 인도 타타자동차, 한국 현대차 등의 등급이 떨어졌다고 신문은 전했다.

신문은 저금리 기조에서 과도하게 부채를 늘려 온 기업이 미국발 금리 인상 여파로 재무상황에 타격을 입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글로벌 경기 위축 우려가 고조되는 가운데 급격한 등급 강등으로 자금조달에 타격을 입는 기업들의 경우 채무불이행(디폴트)에 빠질 우려도 크다고 신문은 경고했다. 실제 국제 신용포트폴리오 매니저협회(IACPM)가 최근 발표한 조사결과, 세계 약 20개국의 운용담당자 중 73%는 “향후 1년간 채무불이행이 늘어날 것”이라고 응답했다. 국제결제은행(BIS)이 세계 14개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도 지난 3년간 이자비용을 영업활동 이익으로 충당하지 못한 기업 비율이 6%대로 늘어났다.

신문은 “보유자금이나 자산매각을 통해 빚을 갚아갈 여지는 있다”며 “실제 부도기업 증가 여부는 금융정책의 향방 등에 좌우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