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듀오 “미혼남녀 44% 결혼 뒤 자녀 2명 낳고파”

미혼남녀 10명 중 4명은 결혼 뒤 2명의 자녀를 희망하는 반면 10명 중 2명은 한 명의 아이도 원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1위 결혼정보회사 듀오는 이 같은 내용의 ‘2019 출산 인식 보고서’를 29일 발표했다. 이번 설문은 미혼남녀의 출산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지난해 11월 1~15일 전국 25~39세 미혼남녀 총 1,000명(남성 489명, 여성 511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미혼남녀의 44.7%는 2명의 자녀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0명’ 24.5%, ‘1명’ 23.8%, ‘3명’ 5.3%, ‘4명 이상’ 1.7%가 뒤를 이었다. 성별로는 남성과 여성 모두 ‘2명’이 각각 48.5%, 41.1%로 가장 높았지만 ‘0명’의 경우 여성의 응답이 29.7%로 남성(19.0%)보다 높았다. 소득에 따른 차이도 눈에 띄었다. 연 소득이 2,000만원 미만인 응답자는 ‘0명’이 37.7%로 가장 높았던 반면 2,000만~3,000만원 미만과 3,000만~4,000만원 미만, 4,000만~5,000만원 미만, 5,000만원 이상은 ‘2명’이 각각 46.7%, 46.1%, 47.1%, 51.9%로 가장 많았다.

출산 시기는 ‘결혼 생활 1년 이상~2년 미만’이 37.6%로 가장 높았으며, ‘낳지 않겠다’ 23.1%, ‘결혼 생활 1년 이내’ 20.1%, ‘결혼 생활 2년 이상~3년 미만’ 12.7%, ‘결혼 생활 3년 이상~4년 미만’ 4.0%, ‘결혼 생활 4년 이상~5년 미만’ 2.1%, ‘결혼 생활 5년 이상’ 0.4% 순이었다. 출산시기는 학력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고졸 이하는 ‘낳지 않겠다’는 응답이 33.6%로 가장 높았지만, 대졸(재학)과 대학원졸(재학)은 ‘결혼 생활 1년 이상~2년 미만’이 각각 38.0%, 40.7%로 가장 높았다. 다만 ‘낳지 않겠다’는 응답은 대졸(재학)이 22.2%, 대학원졸(재학)이 17.4%를 기록해, 학력이 낮아질수록 출산을 원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 출산으로 인한 가장 큰 걱정은 ‘육아에 드는 시간과 노력’이 40.3%로 가장 높았다. 이어 ‘양육비용’ 23.3%, ‘사교육비 부담’ 16.9%, ‘건강한 출산에 대한 두려움’ 12.1%, ‘직장생활 영향’ 6.5% 등이 뒤를 이었다.

관련기사



전체 응답자의 76.8%는 결혼 후 맞벌이를 원한다고 답했다. 특히 남성의 77.7%, 여성의 76.1%가 맞벌이를 하겠다고 답해 성별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다. 특히 맞벌이를 희망한다는 응답은 연 소득 2,000만 미만~5,000만원 이상과 고졸 이하~대학원졸(재학) 등 모든 소득·학력에서 70% 이상을 기록했다. 결혼 후 맞벌이 가사분담을 묻는 질문에는 ‘부부가 똑같이 분담한다’가 75.3%로 가장 많았으며, ‘아내가 주로 하고 남편이 돕는다’가 15.4%로 뒤를 이었다.




심화되는 저출산과 달리 저출산 문제 인식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출산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한다는 응답은 63.7%로 지난 2017년 68.3%, 2018년 65.5%보다 줄었다. 특히 여성은 52.8%만 심각하게 생각한다고 답한 반면 남성은 75.1%가 그렇다고 답해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저출산의 원인을 묻는 질문에는 ‘일과 가정 양립의 어려움’이 32.5%로 가장 많았다. 국가의 저출산 정책이 출산 의지에 영향을 미치느냐는 질문에는 51.8%가 ‘보통’이라고 답했다. 다만 ‘부정적’과 ‘매우 부정적’이 각각 25.9%와 11.6%를 기록해 10명 중 4명은 정부 정책을 부정적으로 생각했다. 저출산 정책 선호도는 ‘보육 지원’(25.1%), ‘출산 지원’(23.3%), ’주거 지원‘(20.4%) 순으로 나타났다. 성별로 나눠보면 남성은 ‘출산 지원’(24.7%), ‘주거 지원’(23.1%), ‘보육 지원’(21.1%)을, 여성은 ‘보육 지원’(29.0%), ‘출산 지원’(21.9%), ‘주거 지원’(17.8%)을 선호했다. ‘경력 단절 예방 지원’ 정책 수요는 여성(17.0%)이 남성(7.8%)보다 약 2배가량 높았다.



박수경 듀오 대표는 “현재의 인구정책은 밀레니얼 세대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만큼 고정된 결혼관에서 벗어나 정책 기조를 개인 행복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며 “결혼생활이 행복하다는 인식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결혼과 출산 정책이 지원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연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