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한해 손상 사망 중 절반은 자살

질병관리본부 종합통계집…추락·미끄러짐·둔상·관통상·교통사고 등

한해 416만명이 추락, 폭행, 교통사고 또는 자해 등 질병이 아닌 외부적 요인에 다치는 ‘손상’을 겪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해 손상에 의한 사망이 2만8,000천명에 이르는 가운데 절반 가까이는 자해·자살 때문이었다.

질병관리본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8차 국가손상종합통계집’을 29일 발간했다. 이 통계에는 다양한 기관에서 생성되는 손상 관련 자료를 통합·표준화해 우리나라 전체 손상의 규모와 특성을 반영했다. 올해는 손상 현황을 담았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이슈를 반영하기 위해 자해·자살 손상 내용을 추가했다. 통계에 따르면 2016년 국내에서 발생한 손상 환자는 국민건강영양조사 기준 415만7,658명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손상 발생률은 남자 9,476명, 여자 6,795명으로 평균 8,134명이었다. 손상으로 인한 입원은 110만952명, 사망은 2만8,218명으로 조사됐다.


인구 10만명당 손상 입원 발생률은 2,161명(남자 2,431명·여자 1,891명)이고, 손상 사망 발생률은 55명(남자 76명·여자 35명)이었다.

관련기사



가장 흔한 사고 원인은 추락·미끄러짐으로 132만7,000명의 손상 환자가 발생했다. 이어 둔상·관통상(123만6,000명), 교통사고(90만1,000명)였다. 특히 교통사고는 19~64세 청장년층의 가장 흔한 손상 발생 원인이었다. 손상 사망자에서 사고 원인만 봤을 때는 교통사고에 의한 사망이 5,150명에 달했으나, 손상이 일어난 의도까지 확인한 결과를 보면 자해·자살로 인한 사망자 수가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전체 손상 발생 환자의 의도를 확인한 결과, 비의도적 사고(407만2,000명)가 97%를 차지했고 폭력·타살(5만4,000명), 자해·자살(3만2,000명) 순이었다.

7~18세 소아·청소년에서는 폭력·타살에 의한 손상이 많았지만 19~64세 청장년층에서는 자해·자살에 의한 손상이 많았다. 특히 자해·자살은 주된 손상 사망 원인이기도 했다. 자해·자살로 인한 손상 사망자는 1만3,000명에 달해 전체 손상 사망자의 46%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중 9,290명은 청장년층이어서 해당 연령대의 자해·자살 예방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진단됐다.


우영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