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현대기아차노조, 31일 광주시청 항의방문…“광주형 일자리 반대”

현대자동차 노조가 지난해 12월 5일 현대차 울산공장 본관 앞에서 ‘광주형 일자리’에 반대하는 집회를 하고 있다./연합뉴스현대자동차 노조가 지난해 12월 5일 현대차 울산공장 본관 앞에서 ‘광주형 일자리’에 반대하는 집회를 하고 있다./연합뉴스



광주형 일자리가 타결되자 그동안 이 사업을 반대해온 현대자동차 노조와 기아자동차 노조가 확대 간부 파업하고 광주시청을 항의 방문할 계획이다.

현대차 노조는 현대차 광주공장 설립을 위한 협약식이 열리는 31일 광주시청을 방문해 항의와 반대 의사를 전달할 것이라고 30일 밝혔다.


두 노조 대의원과 집행부 등 확대 간부는 31일 하루 전면 파업에 돌입하고 광주시청으로 갈 예정이다.

확대 간부는 현대차 노조만 600명 규모지만 일반 조합원은 조업하기 때문에 두 회사 생산공장은 정상 가동될 전망이다.

항의방문에는 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 간부들도 결합할 예정이다.


노조는 31일 광주시청 앞에서 집회를 연 후 향후 투쟁 방향을 정할 방침이다.



현대기아차 노조와 금속노조, 민주노총은 자동차 산업 포화상태에서 광주형 일자리가 사업성이 없으며 기존 자동차 업계 일자리를 감소시킨다며 반대해왔다.

현대차 노조는 “광주형 일자리가 타결되면 총파업 등 강도 높은 투쟁을 하겠다”고 수차례 밝힌 바 있다.

광주형 일자리는 광주광역시가 한국노총 등 노동계와 협의해 근로자 임금을 기존 업계 수준보다 낮추고 현대차와 함께 광주에 10만대 경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생산공장을 짓는 것이다.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는 지난해 12월 5일 노동계가 반발하는 임단협 유예조항을 빼고 수정안을 의결했으나 현대차가 초기 경영 안정을 위해서는 임단협 유예조항이 들어가야 한다며 거부해 협약 조인식이 무산됐다가 임단협 유예기간을 보완한 잠정 합의안이 30일 통과됐다.

김호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