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미·중, 워싱턴 무역담판 착수…무역전쟁 끝날까

라이트하이저-류허, 31일까지 백악관서 협상

지재권침해·기술 강제이전 중단 등 핵심쟁점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오른쪽)와 류허 중국 부총리(왼쪽)를 각각 대표로 하는 미중 고위급 협상단이 30일(현지시간) 백악관 아이젠하워 빌딩에서 양국간 무역전쟁 타결을 위한 담판을 벌이고 있다./AP연합뉴스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오른쪽)와 류허 중국 부총리(왼쪽)를 각각 대표로 하는 미중 고위급 협상단이 30일(현지시간) 백악관 아이젠하워 빌딩에서 양국간 무역전쟁 타결을 위한 담판을 벌이고 있다./AP연합뉴스



미국과 중국은 30일(현지시간) 무역 전쟁을 끝내기 위해 워싱턴DC에서 이틀 일정의 고위급 협상에 착수했다.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류허 중국 부총리를 각각 대표로 하는 미중 협상단 대표는 이날 오전 백악관 아이젠하워 빌딩에서 만나 무역전쟁 타결을 위한 담판에 나섰다. 양측 협상단은 회담장으로 가는 길에 쏟아진 기자들의 질문에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고 곧바로 회의장 안으로 들어섰다. 미국 협상단 대표인 라이트하이저 대표는 대표적인 대중국 강경파로 통상 부문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복심으로 불린다. 또 중국 측의 류 부총리는 시 주석의 경제 책사로 거론된다.

지난 7~9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차관급 협상에 이은 이번 장관급 협상은 오는 3월 1일 ‘휴전 종료’를 앞둔 미중 무역전쟁은 물론 글로벌 경제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역대 최장 연방정부 셧다운(일시적 업무정지)으로 경제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상황이 더 악화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이번 협상에 힘을 쏟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 기간 동안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의 특사격인 류 부총리와 따로 면담할 예정이다.


31일까지 이어지는 이번 협상의 핵심은 미국이 ‘기술 도둑질’로 비난하는 중국의 불공정 관행에 대한 구조적 해결책을 마련하는 것이다. 협상에 참여하는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부 장관은 전날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지식재산권 침해, 중국에 진출하는 미국 기업들에 대한 중국의 기술이전 강요, 이를 금지할 이행강제 장치 마련 등을 3대 핵심의제라고 말했다. 그 외에도 중국의 막대한 무역흑자를 초래하는 양국의 무역 불균형, 중국 상품의 가격 경쟁력을 좌우하는 위안화 약세 문제와 환율조작 논란도 의제에 포함됐다. 므누신 장관은 이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중국의 양보가 충분하다면 고율 관세가 전면 철회될 수도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관련기사



현재 미국은 500억 달러 규모의 중국 제품에 25%, 2,000억 달러 규모의 중국 제품에 10%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이에 맞서 중국은 1,100억 달러어치 미국 제품에 관세를 물렸다. 앞서 미국은 오는 3월 1일까지 중국과 협상해 합의하지 못하면 2,000억 달러 규모의 중국 수입품에 25%에 달하는 관세를 물리겠다고 경고해 사실상 협상 시한을 설정한 바 있다. 만일 이번 미중 협상을 통해 고율 관세가 철회되거나 추가관세가 억제되는 등 해결책이 마련된다면 미국, 중국뿐만 아니라 글로벌 경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중국과 미국 등에 수출이 많아 경제의 대외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미중 협상에 따른 대외환경 변화에 특히 민감하다.

그러나 미국이 요구한 보조금 삭감, 지식재산권 침해 및 기술 강제 이전 중단 등 핵심쟁점을 둘러싼 의견 차이는 좁혀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블룸버그 통신은 “므누신 장관은 이번 협상에서 의미 있는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했지만, 핵심의제에 대한 간극은 여전히 크다”며 “미중이 더 많은 대화를 나누고 있지만, 협상 전망은 여전히 낮다”고 전했다.
/이다원 인턴기자 dwlee618@sedaily.com

이다원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