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슈퍼빅딜 관측에도…갈길 먼 미중 무역협상

외신 "中, 北 비핵화 보증 땐 美 무역전쟁 이슈 양보" 예상 속

트럼프, 의회에 무차별 관세 권한 요구…내주 실무진 협상 변수

라이트하이저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사진출처=백악관라이트하이저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사진출처=백악관



북미정상회담이 이달 말 베트남에서 개최될 예정인 가운데 미중 정상이 같은 시기에 같은 장소에서 만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북한 비핵화와 미중 무역전쟁을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담판을 지을 가능성이 커졌다. 미중 무역분쟁을 계기로 중국에 대해 거센 압박을 가해온 미국과 북한의 든든한 뒷배임을 자처해온 중국의 최고지도자 간에 빅딜 가능성이 열린 것이다. 다만 미국이 보호무역 기조를 강화하고 중국의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바꾸겠다고 공언하고 있어 빅딜에 난관이 예상된다.


6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 외신과 베이징 소식통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은 오는 27~28일 베트남에서 열릴 제2차 북미정상회담을 전후로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이 회동하기로 하고 세부적인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 이번 회동은 지난해 12월 아르헨티나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당시 무역전쟁 휴전을 선언한 지 3개월여 만으로 미중 정상이 추가 관세 부과 유예 마감시한으로 정한 3월1일을 바로 앞둔 시점이다. 또 종전선언과 북한 비핵화 경로를 도출할 북미정상회담이 27~28일 베트남에서 열리는 상황에서 미중정상회담도 이뤄질 가능성이 커 북한 핵 문제와 미중 무역협상은 자연스레 연계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외신들이 전하는 빅딜은 중국이 북한의 비핵화를 보증하고 미국은 중국의 구조개혁 등 무역전쟁의 주요 이슈를 양보하는 것이다.

관련기사



다만 이날 확정된 북미정상회담 개최와는 달리 미중 회동은 아직 유동적인데다 중국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 의지가 여전해 양측이 합의점을 이끌어내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워싱턴DC 의회의사당에서 진행된 새해 상하원 합동연설을 통해 ‘호혜무역법(Reciprocal Trade Act)’ 입법화를 촉구했다. 이는 미 행정부가 무역 상대국의 무역정책을 불공정하다고 판단하면 대통령이 의회의 승인 없이도 보복관세를 부과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적 근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처럼 미국 측 분위기가 강경한 상황에서 미국의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이 다음주 초 중국 베이징을 방문해 고위급 무역협상을 이어갈 예정이다. 미국이 만족할 만한 양보안이 나오지 않는다면 무역협상은 난항이 예상된다. /베이징=최수문특파원 chsm@sedaily.com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