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트럼프, 세계은행 총재 후보에 對中 강경파 맬패스 美 재무차관 지명

데이비드 맬패스 미국 재무부 국제담당 차관. /블룸버그데이비드 맬패스 미국 재무부 국제담당 차관. /블룸버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사임한 김용 전 세계은행(WB) 총재를 이을 후임 총재 후보로 데이비드 맬패스(63) 미 재무부 국제담당 차관을 지명했다. ‘트럼프 충성파’이자 ‘대중 강경파’로 알려진 맬패스 차관은 WB의 역할 확대에 비판적인 태도를 취해온 만큼, 신임 총재로 선출된다면 WB 구조조정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6일(현지시간) AFP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맬패스 차관을 “대단하고 특별한 사람”이라며 WB 총재로 지명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 정부의 최우선 과제는 미국 납세자들의 세금이 효과적이고 현명하게 쓰이도록 하는 것”이라며 “맬패스는 오랫동안 WB의 책임에 대한 강력한 옹호자”라고 지명 배경을 설명했다.

맬패스 차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후보 시절 선임 경제정책보좌관을 거쳐 트럼프 행정부에 입성, 보호주의 통상정책을 실행하는 데 앞장섰다. 현재 진행 중인 중국과의 무역협상에서도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


그는 평소 WB가 너무 비대하고 비효율적이라 지적해왔다. 특히 “WB가 중국에 차관 제공을 중단해야 한다” “WB 등 국제기구들이 덩치가 커지면서 주제넘게 참견하는 일이 늘고 있다”며 개혁을 주장해왔다. WB가 추진해온 기후변화와 친환경 에너지 프로젝트도 예산이 삭감되거나 폐지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기후변화를 부인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입김이 작용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블룸버그 통신은 맬패스에 대해 “중국을 극렬히 비판해온 트럼프 충성맨”이라고 표현했고, AFP통신은 “논란이 있는 선택이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다수의 주주들, 특히 유럽국가들로부터 지지를 받는다면 WB 구조조정의 기회를 갖게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WB 이사회는 내달 14일까지 189개 회원국으로부터 차기 총재 후보를 추천받아 최종후보 3인을 발표한 뒤, 4월 중순께 새 총재를 선출할 예정이다. 전통적으로 16%의 의결권을 가진 최대주주인 미국이 낙점한 후보자가 총재로 선출됐다. 그러나 이번에는 글로벌리즘을 거부하는 트럼프 대통령에 맞서는 국가들이 반발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블룸버그는 “중국과 인도 등 신흥시장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는 인식에 따라 WB가 전통을 깨고 ‘비(非)미국인’을 선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올 수 있다”고 예상했다.

한국계 미국인인 김용 전 총재는 임기를 3년여 남겨두고 지난달 사퇴 의사를 밝혔다. 그는 2016년 트럼프 대통령 당선 전에 연임이 결정됐으나 친환경 프로젝트와 다자주의에 반대하는 트럼프 대통령과 갈등을 빚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민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