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스포츠 라이프

자궁경부암 유발 HPV 감염 비만여성, 심혈관질환 위험 1.7배

강북삼성병원 5년 추적관찰 결과

고혈당 등 대사증후군 땐 2배로

(강북삼성병원 제공)(강북삼성병원 제공)



자궁경부암을 유발하는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Human Papillomavirus)에 감염된 비만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심근경색·협심증 등 심혈관질환 발생위험이 1.7배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성균관대 강북삼성병원 주은정(감염내과)·장유수(가정의학과)·유승호(직업환경의학과) 교수팀이 HPV 검사를 받은 30세 이상의 건강한 여성 6만3,411명을 5년간 추적관찰한 결과다.


8일 강북삼성병원에 따르면 연구팀은 100여종이 넘는 HPV 가운데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되는 13종에 감염된 경우를 ‘고위험 HPV’ 양성, 그렇지 않으면 음성으로 나눠 심혈관질환 발생위험을 비교했다.

그 결과 고위험 HPV 양성 여성의 심혈관질환 발생위험은 음성 그룹보다 1.25배 높았다. 특히 고위험 HPV 양성이면서 비만한 여성, 비만하고 대사증후군까지 동반한 여성의 심혈관질환 발생위험은 음성 그룹의 1.7배, 2배나 됐다. 대사증후군은 고혈당·고혈압·고지혈증·비만 등이 한꺼번에 나타난 상태를 말한다.


심혈관질환은 세계 사망원인 1위, 국내 3위며 흡연·고지혈증·고혈압·당뇨병 등이 대표적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20%가량은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상황인데 최근 HPV가 그중 하나가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돼 화제를 모으고 있다. 고위험 HPV는 성접촉을 통해 두경부암·편도암 등의 발병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련기사



주 교수는 “고위험 HPV가 자궁경부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왔지만 심혈관질환 발병과의 연관성이 확인된 만큼 감염에 더욱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HPV의 주요 감염원인은 성생활이다. HPV에 감염되더라도 자연적으로 치유되는 경우가 많은 편이지만 안심해서는 안 된다. 감염 상태가 지속되면 감염 부위에 비정상적인 세포 변화를 일으켜 치명적인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장 교수는 “국내 여성의 고위험 HPV 감염률은 10% 수준으로 높은 편”이라며 “이미 고위험 HPV에 감염된 상태에서 비만 또는 대사증후군이 생기면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비만하거나 과체중이 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심장학회가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순환 연구(Circulation Research)’에 발표됐다.


(강북삼성병원 제공)(강북삼성병원 제공)


임웅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