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가르드 총재의 우려는 과장이 아니다. 지난달 IMF는 올해 세계 성장률 전망치를 3.7%에서 3.5%로 내렸고 세계은행은 이보다 낮은 2.9%를 제시했다. EU 역시 자체 성장률 추정치를 0.6%포인트나 하향했다. 이것이 끝이 아니다. 14일부터 시작되는 미중 고위급 무역협상에서 극적 타협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나 홀로 세계 경제를 이끌던 미국이나 6%대의 성장세를 보였던 중국 모두 타격이 불가피하다. 자칫 ‘폭풍’이 아니라 ‘쓰나미’가 될 수도 있음이다.
글로벌 경제가 흔들리는데 한국 경제라고 무사할 리는 없다. 이미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12월 1.2% 감소했던 수출은 지난달 5.8%로 하락폭을 더 키웠다. 한국은행은 아예 올해 연간 수출액이 감소할 수 있다는 암울한 전망까지 내놓았다. 게다가 노사갈등과 투자부진, 부동산 시장 위축, 자영업·가계부채 급증 등 한국 경제의 발목을 잡는 악재들 역시 사라지지 않고 있다. 지난해보다 올해가 더 어려운 시기가 될 것이라는 우려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우리 경제를 이대로 내버려둔다면 글로벌 경제 폭풍의 첫 희생양이 될지도 모른다. 이러한 시나리오를 피하려면 경제체질부터 시급히 개선해야 한다. 민간이나 정부만의 힘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정부는 기업이 마음 놓고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기업은 혁신을 통한 미래 먹거리 창출에 나서는 민관 협력 시스템 구축이 절실하다. 기업 발목에 채운 족쇄를 풀고 노동 시장 유연화로 생산성을 높이는 것은 이를 위한 첫걸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