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정치·사회

주한美대사 언론브리핑 돌연 연기…북미협상 영향 의식?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 대사/연합뉴스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 대사/연합뉴스



제2차 북미정상회담을 일주일 앞두고 해리 해리스 주한미국대사가 20일로 예정됐던 언론 대상 브리핑을 돌연 연기해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주한미국대사관은 외교부 출입 기자단 대상 해리스 대사의 언론 브리핑을 하루 앞둔 19일, 브리핑을 연기한다고 알려왔다. 대사관 측은 일방적 연기에 대한 기자단의 항의에 ‘유감’(regret)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앞서 대사관은 지난 13일로 브리핑을 예정했다가 구체적인 이유를 밝히지 않고 ‘북미회담 이후에 개최하자’며 한 차례 연기한 바 있다. 그 후 대사관이 다시 브리핑을 하겠다고 해서 기자단과 조율을 거쳐 20일로 일정이 정해진 것이었다. 제2차 북미정상회담이 다가오면서 협상 상황 및 미국 정부의 입장 등에 대한 해리스 대사의 메시지에 관심이 쏠린 상황에 거듭 브리핑을 예정했다 일방적으로 취소한 것이다.

관련기사



이를 두고 외교가에서는 이르면 21일부터 하노이에서 열릴 전망인 북미간 최종 실무협상을 의식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아직 북미 양측이 합의문과 관련해 ‘살얼음판’ 조율을 진행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해리스 대사의 발언이 협상에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을 우려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다. 미 국무부 등으로부터 연기하라는 지침을 받았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보인다. 다만 언론과의 ‘약속’을 거듭 일방적으로 깬 것은 주재국 국민과의 소통 측면에서 아쉽다는 지적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앞서 해리스 대사는 지난 14일 서울 고등교육재단에서 열린 최종현학술원 출범기념 한미중 컨퍼런스 기조연설에서 “북한이 비핵화를 할 때까지는 대북 제재가 유지될 것이라는 점에 미국과 한국 정부는 완전히 동의하고 있다”면서도 “북한이 비핵화 약속을 이행하면, 우리는 한국과 다른 여러 동맹과 협력해 밝고 번영한 미래를 북한에 제공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정현정 인턴기자 jnghnjig@sedaily.com

정현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