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케이카 중고차 통계] 지난해 경차 팔고 1,200만원 더 들여 SUV 샀다

케이카 “한국 소비자, 차 바꿀 때는 더 큰 차 선호”

경차·소형·준중형 팔고 SUV 구매 고객 가장 많아

대형차 소유자는 다시 대형차 유지 경향 보여




우리나라 소비자들은 기존 차를 팔고 중고차로 바꿀 때 더 큰 차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1,200만원을 더 들여 스포츠유틸리티차(SUV)로 갈아타는 비율이 높았다.


국내 최대 직영 중고차 기업 케이카(K Car)는 지난해 차 맞교환 이용 고객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맞교환 서비스’란 기존에 타던 차를 파는 동시에 새로운 차를 구매하는 것인데 ‘대차’라고도 말한다.

케이카에서 맞교환 서비스로 중고차를 거래한 고객은 2016년 11.1%, 2017년 13.3%, 2018년 14%로 증가하고 있다. 분석 결과 남녀 모두 기존에 타던 차보다 큰 차종을 구매하는 경향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고 SUV·RV로 변경한 고객이 가장 많았다.


케이카에서 타던 차를 팔고 새로 중고차를 구매한 고객 중 32.2%는 다음 차로 SUV·RV를 선택했다. 뒤이어 대형차, 중형차, 준중형차 순으로 구매했다.





경차를 타던 고객은 SUV·RV 차종으로 바꾸는 경우가 29.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경차에서 준중형차로 바꾸는 고객이 25.9%를 기록했다. 소형차와 준중형차를 타던 고객도 SUV·RV 차종으로 맞교환하는 비율이 각각 31%, 31.7%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케이카 관계자는 “경차, 소형, 준중형 세단에서 SUV·RV 차종으로의 이동이 가장 많은 요인은 최근 세단보다 실용도가 높은 SUV·RV의 선호도가 높아져 예전처럼 한 체급씩 올리며 차를 바꾸지 않고 준준형 이하의 작은 차를 타던 고객은 SUV로 바로 넘어가는 추세인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중형차를 타던 고객이 대형차로 이동한 비중이 32.5%로 가장 높았다. SUV·RV로 바꾼 경우가 27.2%로 뒤를 이었다. 중형 세단을 운전했던 고객들은 SUV·RV로 이동(27.2%)하기보다 대형 세단(32.5%)으로 차종 변경이 아닌 차 체급을 높여 구매했다.

하지만 다른 차종과 달리, 대형차와 SUV·RV는 기존 차종을 그대로 유지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특히 대형차의 경우 같은 대형차로의 이동이 44.6%, SUV·RV는 같은 SUV·RV로 이동이 44.4%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보통 새로운 차를 구매할 때 차 크기를 줄이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대형차나 SUV를 타던 사람은 그대로 차급을 유지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남녀 모두 새 차를 살 때 타던 차보다 더 큰 차량을 구매하는 이른바 상향 대차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케이카 맞교환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 가운데 남성은 기존 중형차에서 대형차, SUV·RV에서 SUV·RV, 준중형차에서 중형차 순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았다. 여성은 경차에서 준중형, 경차에서 SUV·RV로 변경하는 고객이 많았다. 상세 모델별로 살펴보면 남성의 경우, 현대 그랜저TG에서 그랜저HG로, 여성은 기아 뉴모닝에서 현대 더 뉴 아반떼로 맞교환하는 거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케이카에서 고객이 기존 차를 매각하고 새로운 차를 구매할 때 추가로 사용하는 비용은 평균 약 1,200만원선으로 여성에 비해 남성이 100만원 가량을 더 지불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구경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