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불씨 여전한 탄력근로제]"경총과 야합" "무책임 극치"...제갈길 가는 양대노총

민노총 장외투쟁 노선 고수에

한노총 "악법 양산" 꼬집기도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확대 합의가 노동계를 갈라놓았다. 애초 사회적 대화 참여를 놓고 각자의 길을 갔지만 거리가 점점 더 멀어지는 분위기다.


포문은 민주노총이 열었다. 경제사회노동위원회 합의가 이뤄진 지난 19일 민주노총은 “한국노총이 노동자의 건강과 임금을 한국경영자총협회·정부와 야합해 팔아먹었다”며 격하게 비난했다. 한국노총은 이튿날 바로 반격에 나섰다.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은 20일 서울 여의도 노총 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사회적 대화에 참여할 수 있는데도 반대만 하는 것은 무책임의 극치”라고 맞받았다. 김 위원장은 “같은 노동단체로서 상대를 매도하는 것이 도를 넘었다”며 “지켜야 할 금도가 있다”고도 했다.

관련기사



한국노총은 민주노총의 장외투쟁 노선이 오히려 ‘노동 악법’을 양산한다고 꼬집었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5월 최저임금 산입범위 확대 과정에서 노사 합의가 안 된 내용을 정치권이 최악의 내용으로 개악한 경험이 있다”며 “(이 과정에는) 민주노총의 합의 반대가 있었다는 사실을 분명히 말씀드린다”고 쏘아붙였다.

민주노총은 다시 길거리로 나섰다.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로 소공원에서 열린 총파업 결의대회에서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은 “경총이 주문하고 정부가 압박하고 한국노총이 손잡아준 바로 탄력근로제 기간 확대를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며 “싸워서 돌파할 것”이라고 했다. 이 자리에서 김 위원장은 다음달 6일로 예정된 총파업 결의를 다지겠다며 머리를 깎았다.

서종갑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