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울산시, 원전·국가산단 안전 기반시설 구축 나서

원자력방재타운, 지하배관통합안전관리센터 건립 등

울산시는 원자력발전소와 노후화된 국가산업단지의 지하배관에 대한 시민 불안을 없애기 위해 안전 기반시설 구축에 나선다고 21일 밝혔다.

시는 울산원자력방재타운 조성과 국가산단 지하배관통합안전관리센터 건립, 위험물 옥외저장탱크 안전관리 및 화재대응시스템 구축 등에 총 1,053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한다.


현재 울산은 인접 지역인 고리와 월성을 포함해 가동 원전이 모두 12기에 달한다. 또 건설 중인 신고리 4, 5, 6호기가 완공되면 모두 15기의 원전이 가동되는 세계최대의 원전밀집지역이다. 이에 따라 울산시는 울산원자력방재타운을 2019년~2028년까지 10년에 걸쳐 조성할 계획이다. 방재타운 내에는 2021년 6월 준공 예정인 ‘울주 방사능방재지휘센터’를 핵심기관으로 방재관련 기관, 교육훈련 연수시설, 방사선 홍보체험장, 방재연구소 등 다양한 기관을 유치할 예정이다. 시는 울산원자력방재타운 조성을 위해 현재 연구용역비 1억8,500만원으로 타당성 조사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 7월 용역이 완료되면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방재타운의 총사업비는 683억원 정도로 예상되며, 방재타운의 위치 및 규모는 타당성 조사용역을 거쳐 확정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또한 울산 산업단지 안전을 위해 국가산단 지하배관 컨트롤타워인 ‘지하배관 통합안전관리센터’를 건립한다. 울산·미포, 온산국가산업단지 내에 매설된 지하 배관은 화학관, 가스관, 송유관 등 8종 시설물로 총연장 1,660km에 달한다. 이송물질에 따라 적용되는 법과 관리 주체가 달라 지하 배관을 총괄 관리하고 지원할 수 있는 기관 설립이 필요했다. 시는 올해 안으로 국비 6억원으로 국가산단 지하 배관 통합안전관리센터 건립 기본 및 실시설계를 한다는 계획이다. 지하 배관 통합안전관리센터는 지상 4층 규모로 총 290억원이 투입되며 사업기간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이다.

위험물 옥외저장탱크 안전관리 및 화재대응시스템 구축을 위해 울산소방본부에서는 올해부터 3년에 걸쳐 대용량 포 방사시스템을 도입한다. 대용량 포 방사시스템은 대형 위험물탱크 전면 화재 발생 시 특수 장비를 활용해 액체 표면의 중심부에 단시간에 집중적으로 대량의 폼을 도포해 질식소화 하는 방법이다. 시는 2021년까지 총 80억원의 예산으로 대용량 포 방사시스템 2벌을 도입할 계획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울산원자력방재타운 조성과 지하배관통합안전관리센터 건립 등 안전인프라 구축을 통해 안전울산을 만드는 데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