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위패도 못 모시는 순국선열 700人

문화재 규제 얽히면서 사업보류

현충사 증축 4년째 첫삽도 못떠

3·1절 100주년 맞춰 개관 무산

서울 서대문구 독립공원에 있는 순국선열 위패봉함관 현충사./김지영 기자서울 서대문구 독립공원에 있는 순국선열 위패봉함관 현충사./김지영 기자



일제에 항거하다 목숨을 잃은 순국선열의 위패를 모신 서울 서대문의 현충사 증축 사업이 4년째 첫 삽조차 뜨지 못하고 있다. 당초 3·1운동 100주년인 올해 3월1일 문을 열 예정이었지만 문화재 규제에 막혀 독립유공자 700여명의 위패가 자리를 잡지 못한 상태다.

26일 시민사회단체에 따르면 지난 2015년 광복 70주년 기념사업의 하나로 추진된 ‘독립의 전당’ 건립사업이 보류돼 시작조차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독립의 전당 건립사업은 순국선열의 위패를 모시는 서대문 독립공원 내 현충사 건물을 ‘독립의 전당’으로 바꾸고 규모를 10배 확충하는 사업이다. 현재 현충사는 내부 공간이 좁아 서훈을 받은 순국선열 3,500여위 중 2,835위만 모시고 있다. 이에 4년 전 박원순 서울시장과 박승춘 당시 국가보훈처장이 공동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예산 195억원을 투입해 사업을 추진할 것을 약속했다.


그러나 부지를 둘러싸고 규제가 얽히면서 예산은 반납됐고 사업은 흐지부지됐다. 현충사 인근의 서대문형무소가 문화재다 보니 현충사를 신축·증축·개축할 경우 문화재 현상변경에 해당해 문화재청의 허가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국가보훈처 측은 “지난해 3월 1차 심의가 열렸지만 독립의 전당 건립사업은 보류 결정이 났다”며 “문화재청과 다시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제대로 된 현충사를 기대했던 유족들은 실망이 크다. 관계 부처로부터 계속 ‘협의 중’이라는 답변만 듣는 가운데 여전히 순국선열 700여분은 위패조차 모시지 못하고 있다.

순국선열유족회 관계자는 “정부는 순국선열이 몇 명 있고 그 후손들이 얼마나 있는지, 어떻게 사는지 실태조사 한 번 한 적이 없다”며 “일본의 야스쿠니 신사가 정부에서 220억원을 지원받는 것과 비교하면 한국은 독립유공자에 대해 관심이 없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순국선열은 일본의 조선 침략과 식민지 지배에 맞서 항거하다 목숨을 잃은 분들을 뜻한다. 유족회에 따르면 전체 순국선열이 약 15만명으로 이 중 서훈을 받은 사람이 3,500여명, 국가로부터 보훈 혜택을 받는 유족이 780여명, 현충원에 묘소가 있는 사람이 426위로 집계됐다.

김지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