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경제·마켓

자산 10억달러 넘는 한국인 갑부 36명…전 세계 14위

‘중국판 포브스’로 불리는 후룬이 발표한 올해 세계 갑부 순위에서 10억 달러 이상의 자산을 가진 전 세계 갑부 가운데 한국인이 36명으로 전 세계 14위를 차지했다.

3일 후룬에 따르면 올해 1월31일 기준으로 10억 달러 이상의 자산을 가진 전 세계 갑부 2,470명 가운에 한국인은 36명으로 지난해보다 3명 늘었다. 갑부 수를 기준으로 한 국가별 순위에서 한국은 작년 15위에서 올해 14위로 한 계단 상승했다.


한국인 중에선 자산 160억 달러(약 17조9,800억원)를 보유한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세계 66위로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86억 달러 자산으로 184위,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85억 달러로 189위를 차지하며 그 뒤를 이었다.

올해 한국은 6명이 세계 부호 명단에 새로 이름을 올렸다. 방준혁 넷마블 의장과 김정주 NXC 대표의 부인인 유정현 NXC 감사가 각각 자산 22억 달러를 기록하며 나란히 1,164위에 새로 올랐다.


이 밖에도 구광모 LG그룹 회장, 최기원 SK행복나눔재단 이사장, 구본능 희성그룹 회장, 구본준 LG 부회장이 새로 명단에 등재됐다.

관련기사



올해 전 세계 갑부 수는 2,470명으로 작년보다 224명 줄었는데 국가별로는 중국 갑부 수가 가장 많이 감소했다. 홍콩과 대만을 중국에 포함해 집계한 결과 올해 중국은 갑부 수가 658명으로 지난해보다 161명 감소했으나 여전히 세계 1위 자리를 지켰다. 루퍼트 후거워프 후룬 리포트 회장 겸 발행인은 “중국 주가 하락과 중국 위안화 가치 절하가 중국 갑부 수 급감의 주요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은 작년보다 갑부가 13명 늘어난 584명이었지만 작년에 이어 2위에 머물렀다. 독일과 영국이 각각 117명과 109명으로 3위와 4위를 차지했고 작년 3위였던 인도는 올해 5위로 밀려났다. 작년 11위였던 일본은 올해 13위로 두 계단 하락했다.

한편 전체 갑부 수는 중국이 미국을 앞질렀으나 세계 1∼10위는 미국이 과반을 차지했으며 중국은 10위 권내에 한 명도 포함되지 못했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 제프 베이조스는 재산 1천470억 달러(약 165조1천500억원)로 작년에 이어 올해도 재산 순위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빌 게이츠와 워런 버핏이 그 뒤를 이었다.

알리바바 회장인 마윈과 그 일가가 22위로 중국인 중 가장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올해 갑부 명단에 새로 이름을 올린 201명 가운데 중국인이 52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미국이 39명, 인도는 23명이 새로 추가됐다.


박민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