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하나금융도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KB금융·신한금융에 이어 하나금융그룹도 스튜어드십 코드(기관투자가의 주주권 행사 지침)를 도입하기로 했다.


3일 하나금융은 그룹 고객의 이익 향상과 투자 대상 기업의 중장기적 기업 가치 상승을 위해 스튜어드십 코드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스튜어드십 코드란 기관투자가들이 수탁자로서 투자 대상 회사와의 대화, 의결권 행사, 주주제안 등의 적극적인 주주활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자율규범을 말한다. 하나금융의 한 관계자는 “이번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을 통해 고객 자산의 수탁자로서 자산관리 업무를 보다 성실히 수행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그룹 내 참여사는 KEB하나은행·하나금융투자·하나생명·하나대체투자자산운용·하나벤처스 등 5개 회사다. 하나벤처스는 참여예정기관으로 등록을 신청했고 하나금융의 합작투자회사인 하나UBS자산운용도 지난 1월부터 참여하고 있다. 또한 하나금융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기관투자가로서 최근의 책임투자 이행 활동의 확산 추세에 따라 다양한 주주활동 추진도 병행할 예정이다. 하나금융이 스튜어드십 코드를 도입하면서 금융지주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KB금융지주는 지난해 3월 은행·증권·손보·생명·자산운용·인베스트먼트 등 6개 계열사에 대해 스튜어드십 코드를 시행하고 있고 신한금융지주 계열사인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이 2017년 말 스튜어드십 코드를 도입했다. 일부에서는 수탁자산 증대를 위해 큰손인 국민연금의 가산점 등을 눈치 보지 않을 수 없어 금융사들이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에 나서고 있다는 분석이다.


김기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