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해양경찰청, 육지·바다 넘나드는 전천후 구조보트 만든다

해양경찰청이 연안 해역에서 자유롭게 운항할 수 있는 맞춤형 구조보트 개발에 나선다.

해양경찰청은 올해부터 오는 2022년까지 4년간 육지를 비롯해 펄(진흙) 갯벌, 조수간만의 차와 저수심, 양식장 등 다양한 형태의 해상 장애요소들이 있어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특화된 구조장비와 설비 등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해양경찰청은 오는 4~5월 전문업체를 선정하고 개발 착수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번 연구개발 사업은 지난 2017년 12월 인천 영흥도 낚시어선 사고 발생 당시 조수간만의 차와 양식장 등 해상 장애요인으로 해경 구조세력이 제때 도착하지 못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련됐다.

관련기사



그동안 해양경찰은 갯벌, 갯골, 저수심, 갯바위 등 연안환경에서 운항할 수 있는 장비를 도입하기 위해 수륙양용보트, 호버크래프트, 에어보트 등을 시범 운용하고 현장 근무자들의 의견을 수렴했다. 각 장비별 특화된 장점에도 불구하고 임무 수행 중 미흡한 부분이 있어 운용부서와 선박안전기술공단 등 내·외부 자문위원 실무회의를 진행하고 보완에 나서기로 했다. 해양경찰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과제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제출했으며, 국가 R&D 사업에 선정돼 예산 50억 원을 배정받았다.

해양경찰청 관계자는 “특수구조보트 개발이 완료되면 그동안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려웠던 연안 구조 사각지대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해양 분야 구조체계가 더욱 견고하게 구축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장현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