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정부, 우주개발 시행계획에 5,813억원 투입

‘누리호’ 시험 발사체가 하늘로 향하고 있다./연합뉴스‘누리호’ 시험 발사체가 하늘로 향하고 있다./연합뉴스



정부가 우주발사체 누리호의 1단 엔진 연구개발과 인공위성 개발 고도화 등의 우주개발 사업에 올해 5,813억원을 투입한다.

과학기술통신부는 6일 제30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가 보고한 ‘2019년도 우주개발 시행계획’ 등 4개의 안건을 심의, 확정했다고 밝혔다. 우주개발 시행계획에는 ‘우주발사체 기술 자립’ 등 6대 전략이 담겼다.


확정한 시행계획은 △2019년도 우주개발진흥시행계획 △위성정보활용 시행계획 △우주위험대비 시행계획이며, 농림·산림·환경·수자원 분야의 공공수요 대응 등을 위한 위성을 민간 중심으로 개발하는 차세대 중형위성 2단계 개발사업 계획은 향후 국가우주위원회를 통해 확정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가장 많은 예산이 투입되는 분야는 인공위성 관련 사업이다. 3,122억원이 ‘인공위성 활용 서비스·개발 고도화·다양화’에 투입된다. 이 예산으로 지구를 관측하는 천리안 2A호(기상)가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 운용되고 천리안 2B호(해양·환경)의 총조립·우주환경시험, 다목적 실용위성(정밀감시) 6호 총조립, 7호 상세설계 등도 수행된다.

이밖에 시험용 달 궤도선 시스템 상세설계가 수행되고 NASA 달궤도 우주정거장 참여 등 ‘우주혁신 생태계 조성’에도 힘쓸 예정이다. ‘우주산업 육성과 우주일자리 창출’의 일환으로 우주부품시험센터를 구축하는 등 104억의 예산도 계획돼 있다.

문미옥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우주정책은 외교, 안보, 산업·표준 등 다양한 이슈의 복합체로 확대되고 있어 관련 부처 간 소통과 협조가 특히 중요하다”며 “수립된 계획이 우주개발 역량강화와 우주산업 육성을 통해 혁신성장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하도록 이행에 온 힘을 쏟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정윤 인턴기자 kitty4199@sedaily.com

최정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