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기업

네이버 임원제 부활

'책임리더' 직급 신설

네이버/연합뉴스네이버/연합뉴스



네이버가 임원제도를 부활시켰다. 지난 2017년 1월 신속하고 수평적인 업무문화를 위해 임원직급 폐지 결정을 한 지 2년만이다.

네이버는 10일 ‘책임리더’직급을 신설한다고 밝혔다. 이날 네이버가 책임리더로 선임한 인력은 본사와 계열사에서 총 68명에 달했다.


책임 리더는 사실상 비등기 임원직에 해당한다. 위계상으로는 대표급(C-레벨)과 리더 사이에 위치한다. 책임리더는 매년 계약을 갱신한다. 아울러 보유 주식 현황을 공시해야 한다.

관련기사



네이버가 임원직급을 부활시킨 것은 기업 규모가 급속히 커져 이를 관리할 중간 임원급의 역할이 필요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무엇보다도 각각 사업분야별로 분사까지 염두에 둔 사내독립기업(CIC)이 늘어나면서 해당 CIC를 자율적으로 운영할 임원급 관리자의 필요성이 대두된 것으로 전해졌다. 네이버가 현재 운영 중인 CIC는 모두 7개(인공지능, 검색, 사용자콘텐츠 등)로 알려져 있다.

한편 네이버는 사내 도전정신을 진작하기 위한 임직원 보상계획을 오는 22일 주주총회에 상정하기로 했다. 해당 안건은 임원과 주요 인재 637명에게 모두 83만7,3000주에 달하는 스톡옵션을 주는 방안이다. 이중 한성숙 대표와 최인혁 최고운영책임자(COO)에게 배정되는 몫은 각각 2만주와 1만주다. 이번 스톡옵션에는 행사조건이 걸린다. 3년 후 시점부터 10일 연속으로 네이버 주가가 19만2,000원을 기록하는 것이다. 이는 지난 2월 27일 기준주가(12만8,900원)의 약 1.5배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네이버는 나머지 1년 이상 근속자 2,833명에게도 42만6,000주의 스톡옵션을 제공하기로 했다.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