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윤한홍 “文정부 탈원전에 발전사 순익 30분의 1토막”

발전5개사 작년 당기순이익 탈원전 이전 대비 97%↓

서부·동서·중부 당기순손실, 적자전환 등 재무 악화

윤한홍 자유한국당 의원/연합뉴스윤한홍 자유한국당 의원/연합뉴스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 여파로 국내 주요 발전사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이 탈원전 이전인 2016년의 30분의 1토막 수준으로 악화됐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윤한홍(사진) 자유한국당 의원이 12일 중부·서부·남동·남부·동서발전 등 발전 5개사로부터 제출받은 지난해 재무상태 자료에 따르면 이들 5개사의 총 630억1,900만원으로 탈원전 이전인 2016년(2조1,762억6,700만원)에 비해 97%가 급감했다. 규모로만 놓고 보면 35분의 1토막이 난 것이다. 전년도인 2017년(7,043억7,800만원)과 비교해도 91%나 쪼그라들었다.


서부발전은 2016년보다 4,280억원이 줄어든 348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내며 적자 전환했고, 동서발전도 80억 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해 2016년 대비 4,656억원이 급감했다. 중부발전도 188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냈다.

관련기사





이들 발전사는 수익 급감의 이유로 원자력 공급량 감소와 액화천연가스(LNG) 사용량 증가에 따른 재료비 증가,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RPS) 제도에 따른 비용 증가 등을 들었다.

윤 의원은 발전사의 수익 악화 이유를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서 찾았다. 그는 “탈원전에 따라 원전 가동이 줄지 않았다면 그만큼 값비싼 화력발전과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덜 가동할 수 있었는데 그러지 못해서 큰 손실이 난 것”이라며 “매년 증가하던 발전 5개사의 당기순이익도 문재인 정부 출범과 탈원전 정책이 본격화된 2017년 이후 하락세로 돌아섰다”고 지적했다. 이어 “탈원전 기조가 유지되는 한 2019년에도 발전 5개사의 손실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며 “이 손실은 결국 전기요금 인상 등 국민의 부담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말했다.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