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정책

김관영 "내년 최저임금 동결해야…노동계 결단 촉구"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노동法 처리 촉구

"기업에 적응기간 주는 '숨고르기' 필요하다"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확대 3월국회 처리도 당부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가 13일 오전 국회 본회의장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연합뉴스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가 13일 오전 국회 본회의장에서 교섭단체 대표연설을 하고 있다./연합뉴스



김관영(사진) 바른미래당 원내대표가 13일 내년도 최저임금을 올해 수준으로 동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최저임금의 인상방향에는 동의하나 지금은 2년간 급격히 인상된 최저임금을 감안해 숨고르기가 꼭 필요하다. 임금을 지급해야 하는 기업들의 숨통을 열어주고 적응기간을 주어서 기초체력을 회복하도록 도와야 한다”며 “대통령과 정부, 국회, 특히 노동계의 결단을 촉구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탄력근로제와 선택근로제 단위기간 확대 문제의 신속한 해결도 요구했다. 그는 “업종의 특수성을 외면한 획일적인 주52시간 도입으로 기업과 노동자 모두 사실상 법을 어기게 되는 상황을 방치해선 안된다”며 “3월 국회에서 반드시 매듭지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는 노동 관련 법의 빠른 처리를 위해 당력을 집중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그는 “바른미래당은 국내외 기업 할 것 없이 국내 투자를 꺼리는 지금 상황에서 기업 투자에 가장 중요한 요소인 노동관련 제도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높여주어야만 한다는 절박한 마음으로 이 문제를 최우선적으로 해결해 내겠다”고 약속했다.

관련기사



소득주도성장에 대한 비판도 빼놓지 않았다. 김 원내대표는 “소득주도성장의 확산은 애시당초 이상일 뿐이었다”며 “국가가 주도하고 공공부문을 시험대로 삼는 이념 위주의 경제정책 말고 이제는 시장의 활력을 제공하는 경제정책으로 바꾸자. 기업들의 창의력이 하늘을 찌를 수 있게 정부는 물러서 달라”고 덧붙였다.


양지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