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바닷물 이용 전기 저장 '해수전지연구센터' 생긴다

울산 해수자원화기술연구센터

어제 기공식...내년 준공 예정

리튬 대체로 ESS시장 선도할 듯

바닷물을 이용해 전기를 저장하는 해수전지 전용 연구센터 조감도. /사진제공=UNIST바닷물을 이용해 전기를 저장하는 해수전지 전용 연구센터 조감도. /사진제공=UNIST



바닷물을 이용해 전기를 저장하는 해수전지 전용 연구센터가 생긴다. 값비싼 리튬을 대체해 대용량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되는 기술이다.


울산시와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13일 울산 언양읍 UNIST 신축공사 현장에서 ‘해수자원화기술연구센터’ 기공식을 가졌다. 연구센터는 지하 1층~지상 5층 전체면적 5,443㎡ 규모로 내년 준공 예정이다. 건물과 설비 구축에 총 175억원이 투입된다.

관련기사



해수전지는 바닷물 속 나트륨 이온만 투과시켜 전기를 저장하는 장치다. 무한한 자원인 바닷물을 이용해 전기를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이다. 이 기술은 UNIST가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김영식 해수자원화기술연구센터장이 2014년 세계 최초로 개발에 성공했다. 센터는 UNIST의 대표적 연구브랜드인 해수전지와 이에 관련된 해수담수화, 이산화탄소 포집 및 해수 수소생산 연구를 함께 진행한다. 해수전지기술 준양산이 가능한 생산설비와 시험설비를 구축하고, 이들 설비를 구동할 최적화된 연구 환경을 제공해 원천기술의 상업화를 앞당기는 것이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해수자원화 기술 연구센터가 주도해 고가의 리튬이온 전지를 대체할 대용량 이차전지 개발을 앞당기길 바란다”며 “부식에 강해 해양 생태계에 적합한 수중 로봇, 어망용 GPS부이, 해수 담수화 사업 등 전 산업분야에 널리 퍼져 울산의 새로운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행·재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울산=장지승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