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식도·위 진단, 이젠 캡슐 한알로

ETRI, 초소형 캡슐내시경 개발

초당 24장 촬영 등 정밀 관찰

14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관계자가 위와 식도에 들어갈 캡슐내시경을 들어보이고 있다./사진제공=한국전자통신연구원14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관계자가 위와 식도에 들어갈 캡슐내시경을 들어보이고 있다./사진제공=한국전자통신연구원



국내 연구진이 식도와 위를 효과적으로 진단할 수 있는 캡슐내시경을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국내 의료업체와 손 잡고 소장 전용으로만 촬영하던 캡슐내시경 기술을 식도와 위로 확장해 상부위장관용 캡슐내시경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상부위장관 질환이 전체 소화기 질환의 54%를 차지하는 만큼 기술 영향력도 클 것으로 에트리는 내다봤다.


상부위장관용 내시경 캡슐의 크기는 1cm x 3.1cm다. LED 램프와 두 개의 전·후방카메라, 코인형 배터리, 자석으로 구성돼 있으며 의료진에 정보를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이 내시경은 고속 데이터 통신 기법으로 초당 24장의 사진을 찍을 수 있다. 따라서 식도처럼 캡슐이 빠르게 지나가는 구간도 자세히 관찰할 수 있다는게 ETRI 연구진의 설명이다.

관련기사



캡슐이 촬영한 영상은 몸에 붙이는 전극이나 벨트 형태의 수신부를 통해 몸 밖에 있는 수신기로 전송된다. 의사는 수신기를 보면서 자석이 내장되어 있는 캡슐을 몸 밖에서 마그네틱 컨트롤러를 이용해 제어할 수 있다. 캡슐의 자세를 자유자재로 바꾸거나 위벽에 캡슐을 머무르게 만들어 내부를 좀 더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반복 사용할수록 교차 감염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환자의 복부 불편감을 유발하는 유선 내시경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은 단방향으로 만든 캡슐내시경을 양방향으로도 통신할 수 있도록 발전시키고, 기술을 고도화시켜 십이지장과 소장, 대장 등 전체 소화기관을 검진할 수 있는 기술을 함께 개발할 계획이다. 연구진은 캡슐내시경이 세계 시장에서 상당한 호응을 일으킬 수 있다고 본다. 박형일 ETRI SoC설계연구그룹 과제책임자는“식도와 위장 검사를 보다 정확하고 편안하게 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며 “위치 제어와 데이터 전송 분야에서 캡슐 내시경 기술 경쟁력이 뛰어나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위장질환 발병률이 가장 높은 중국과 식도 질환 발병률이 높은 영국에 상부위장관용 캡슐내시경을 먼저 출시할 계획이다. 이병석 인트로메딕 연구소장도 “내년 시스템의 검증과 품목 허가용 인증시험을 완료한 후 사업화에 본격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신다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